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불쌍한 아이들②] SNS로 24시간 왕따 가능...“집에서도 불안”
[헤럴드경제=신동윤 기자]서울 노원구의 한 초등학교에 근무중인 교사 이모(55ㆍ여)씨는 지난해 학교폭력자치위원회(학폭위)를 경험했다. 담임을 맡고 있던 반 여학생들이 카카오톡 메신저를 통해 한 학생을 ‘왕따’시켰고, 이를 알게된 해당 학생 학부모가 해당 학생들의 처벌을 원했기 때문이다.

이 일로 왕따를 주도한 학생은 봉사활동, 동조한 다른 학생들은 반성문을 작성하는 등 한바탕 곤욕을 치렀다. 이런 일은 이 씨 뿐만이 아니다. 같은 학교의 한 동료 교사 역시 지난해 2학기 중 사이버 학교 폭력으로 인한 학폭위를 개최했다. 이 사건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몇몇 학생들이 특정 학생에 대한 욕설 및 비방글을 올리면서 불거졌다. 이 씨는 “현장에서 느낄 때 최근 신체적인 폭행 등의 눈에 보이는 학교폭력은 줄고 있는 것이 사실이지만, SNS나 메신저 등 사이버 공간의 학교폭력으로 인한 문제는 갈 수록 늘고 있다”고 말했다.

[출처=게티이미지]


최근 초ㆍ중ㆍ고교생들 대부분이 스마트폰을 소지하게 되면서 메신저 또는 SNS, 블로그 등을 통한 사이버 공간상의 학교폭력이 많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사이버 학교폭력의 경우 폭행, 욕설, 금품갈취 등 기존 폭력과는 달리 시간ㆍ장소를 가리지 않고 은밀하고 집요하게 벌어지며 쉽게 눈에 띄지 않는다. 또 전파력이 크고 피해자의 정신적 피폐함을 가중시킨다는 점에서 큰 문제가 발생한다는 것이 다수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사이버 학교폭력으로 인한 학폭위 개최도 더욱 빈번해지고 있다.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안홍준 새누리당 의원이 교육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14년 전국 초ㆍ중ㆍ고등학교에서 열린 학폭위 중 사이버 폭력(정보통신망상의 음란ㆍ폭력ㆍ사이버 따돌림 등)은 전년 대비 18.6%가 증가했다. 이는 공갈(금품갈취)과 따돌림, 약취ㆍ유인으로 인해 개최된 학폭위가 전년 대비 각각 32.5%, 16.2%, 13.7% 감소한 것과 비교하면 더 두드러진다.

이런 문제에도 불구하고 일선 학교에서의 대응에 한계가 있다는 지적도 있다.

[출처=게티이미지]


실제로 거의 모든 일선학교에는 ‘위(Wee)센터’와 같은 상담 시설이 있고, 전문상담사나 교사들이 배치돼 있지만 대개 왕따와 같은 학교폭력을 주요 이슈로 다루고, 학기 초에 진행되는 상담검사 역시 정신건강이 아닌 적성검사 위주로 진행되고 있기 때문이다.

김태윤 열린의사회 상담실장은 “정부가 내놓고 있는 각종 사이버 학교폭력 대책들이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학생들의 유행에 전혀 따라가고 있지 못하다”며 “특히, 선진국들이 성공적인 사이버 학교폭력 근절 대책으로 활용했던 학생들의 인식개선 등의 방법 대신 정부는 과거에 주로 실시됐던 규제와 규율 위주의 정책을 고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1차적인 대책으로는 학부모나 교사들이 학생들의 메신저 대화나 SNS 계정 등에 개입해 사이버 폭력 발생 가능성을 없애야 한다”며 “최종적으로는 물리적 폭력보다 사이버 폭력이 트라우마 등 정신적ㆍ심리적 상처를 더 크게 남긴다는 점을 학생들이 인지할 수 있도록 교육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realbighead@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