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현장에서]사회적 합의 이끌어낸 삼성 반도체
평행선을 달렸던 삼성전자 백혈병 문제가 사실상 타결됐다. 8년 10개월만이다.

삼성전자, 삼성직업병가족대책위원회(가대위), 반도체 노동자를 위한 인권지킴이(반올림)는 지난 12일 처음으로 재해예방대책을 담은 최종 합의문을 들고 나란히 섰다. 합의의 골자는 반도체 사업장에서 재해 방지 노력에 힘쓰겠다는 것이다. 삼성은 내부 재해관리 시스템을 강화하고 외부 독립기구인 옴부즈맨위원회의 관리와 감독을 받기로 했다. 이는 교섭 3자가 가장 첨예하게 대립했던 부분이기도 하다. 나머지 의제인 사과와 보상문제에 대한 온도차가 다르긴 하지만 팽팽하게 맞선 부문에서 합의한 만큼 의미있는 진전으로 풀이된다. 난제가 풀린 셈이다. 교섭 3자가 뜻을 모아 사회적 합의를 이끌어냈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크다는 평가다.

갈등의 단초는 한 여직원의 죽음이다. 지난 2007년 3월 삼성전자 반도체공장 근로자였던 황유미씨(당시 22세)가 급성백혈병으로 사망하면서 논란이 불거졌다. 이후 백혈병이나 암이 생긴 전현직 직원들이 삼성전자를 상대로 잇달아 소송을 냈다.

사태가 장기화되자 조정위원회가 꾸려져 중재에 나섰다. 그러나 발병의 인과관계가 명확치 않아 삼성전자와 반올림 측은 좀처럼 이견을 좁히지 못했다. 협상이 해결의 실마리를 찾은 것은 지난해 7월부터다. 조정위가 보상 명분으로 발병의 인과관계 대신 사회적 부조 차원의 방안을 제시한 것이다. 삼성전자는 조정위 권고안에 근거해 백혈병 보상위원회를 발족시켰고 100여 명에게 보상금을 지급하기 시작했다. 지난해 11월 제3의 중재기구를 구성한 이후 협의가 진전돼 이번 재해예방대책 합의에 이르렀다.

협상은 사실상 종결국면이다. 이견을 보이는 사과와 보상 등 두가지 의제는 동시에 풀어야하는 사안인만큼 문제는 상당히 단순화됐다. 삼성전자는 지난해부터 보상과 동시에 권오현 삼성전자 대표이사 명의로 된 사과문도 함께 전달했다. 백혈병 문제해결을 위한 3대 의제를 함께 풀어간다는 입장이다. 시민사회단체들도 이번 사회적 합의를 존중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산업재해 해결의 새로운 방식으로 자리잡아야하는 시점이다. 

kong@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