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부모 소득 높아야 대학도 잘 간다
공부 잘하는 저소득층, 가정형편에 4년제 대학 포기
저소득층 초등생, 학업 성취도 현격히 낮아



[헤럴드경제=박혜림 기자] 고등학교 때 학업 성취도가 비슷한 학생이라도 가족 소득이 높을 수록 대학 진학률과 4년제 대학 합격률이 높아진다는 연구가 나왔다. 사교육비에 지출할 경제적 여유가 많고 부모가 입시설명회에 직접 참가하는 등 교육 관여 정도가 높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구인회 서울대 사회복지학과 교수 연구팀은 이같은 내용을 담은 ‘대학진학에서의 계층격차: 가족소득의 역할’이라는 논문을 최근 발표했다. 이 논문은 2004년 초등학교 4학년이었던 학생 895명이 2014년 대학에 진학할 때까지 10년간 추적한 서울아동패널 자료에 기반했다.

연구팀은 학생들을 초ㆍ중ㆍ고등생 당시 가족소득 수준에 따라 저소득층, 중간층,고소득층 등 3계층으로 분류됐다.

분석 결과 조사 대상 학생들의 대학 진학률은 고등학생 당시 가족소득 수준에 따라 저소득층 74.9%, 중간층 92.1%, 고소득층 93.9%로 나타났다. 저소득층 학생 4명 중 1명은 대학진학을 포기하거나 실패한 반면 중간층과 고소득층은 거의 대부분 대학진학에 성공했다.

그러나 4년제 대학 진학 여부를 따져보면 모든 계층에서 소득에 따라 결과가 갈렸다. 4년제 대학 진학률은 저소득층이 39.0%에 그친 반면 중간층은 57.5%, 고소득층은 70.5%로 소득 수준에 비례했다. 게다가 고2 성적이 비슷한 학생들이더라도 4년제 대학 진학률은 차이가 났다. 특히 하위권인 학생의 경우 저소득층의 4년제 대학 진학률은 25%로 고소득층의 42%에 비해 현저히 낮았다.

반면 성적 상위권의 경우 중간층과 고소득층의 진학률은 각각 87.3%, 90.8%로 큰 차이가 없었다. 다만 저소득층의 진학률은 75.6%에 머물러 공부를 잘해도 등록금을 내기 힘든 가정 형편 때문에 4년제 대학을 포기하는 학생이 많았음을 알 수 있다.

고등학교 당시 소득 격차 뿐 아니라 초등학교 시기 소득 격차도 중요하다는 점도 확인됐다. 초등학교 당시 중간층이나 고소득층인 학생들은 고등학생이 되어서도 유의미한 성적 차이를 보이지 않지만 저소득층이었던 학생들은 학업성취도가 이들에 비해 현격히 낮았다. 반면 고등학교의 소득 격차는 전 소득층에 걸쳐 학업 성취도 및 4년제 대학 진학률에 영향을 미쳤다.

연구팀은 “초등학생 시기 소득이 높을 수록 사교육비 지원과 부모의 교육 참여에 따라 대학 진학에 직결되는 고등학교 학업 성취도의 차이로 이어진다”고 지적했다. 이어 “대학진학 결과의 계층 간 차이를 줄이려면 학자금 지원제도를 대폭적으로개선하고 장기적으로는 공적 교육기능의 개선을 통해 사교육 부담을 완화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rim@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