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카카오, 콜택시·금융·게임 이어 음악 콘텐츠까지 전방위 행보, 왜?
[헤럴드경제=이혜미 기자] 카카오가 모바일 플랫폼 사업자로서 입지를 굳히기 위한 공격적인 사업 확장에 나서 업계의 관심이 쏠린다. 이를 두고 일각에선 몸집 불리기에 무리하게 치중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도 나온다.

카카오는 국내 1위 음악 콘텐츠 사업자인 로엔엔터테인먼트(이하 ‘로엔’)의 지분 76.4%를 1조8700억원에 인수한다고 11일 밝혔다. 이는 카카오의 모바일 플랫폼 경쟁력과 로엔의 음악 콘텐츠가 가진 장점을 살려 새로운 콘텐츠 플랫폼 기반을 만들고 글로벌 진출의 토대를 마련하겠다는 전략 하에 이뤄졌다. 


카카오는 최근 모바일 콘텐츠 플랫폼 사업자로서 입지를 강화하기 위한 움직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앞서 ‘스토리펀딩’, ‘1boon(1분)’, ‘브런치’등 모바일 콘텐츠 플랫폼을 확대해왔고, 카카오페이지를 통해 유료 모바일 콘텐츠 플랫폼을 성공시킨 포도트리를 자회사로 인수했다. 또 다음tv팟과 카카오TV를 활용한 동영상 콘텐츠를 활성화 하는 데도 주력해 왔다.

엔터테인먼트 사업자인 로엔을 인수한 것 또한 콘텐츠 플랫폼 업체로서의 주도권을 쥐기 위한 전략의 일환으로 보인다.

이미 카카오는 음원 사업자인 ‘벅스’와 손잡고 자체 음원 서비스인 ‘카카오뮤직’을 운영하고 있다. 이날 인수 결정으로 일각에선 카카오뮤직이 멜론에 흡수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놨다. 이에 대해 정성열 카카오 커뮤니케이션팀 1파트장은 “카카오뮤직과 멜론이 각각 추구하는 방향이 다르고 각자 가진 경쟁력이 분명하기 때문에 서비스가 통합되지는 않을 것”이라고 선을 그었다. 그보다는 카카오뮤직은 카카오톡 플랫폼에서 소셜 기능을, 멜론은 기존의 음원 및 콘텐츠 서비스를 유지해 가며 경우에 따라 상호보완하는 방식으로 운영될 전망이다.

로엔은 ‘멜론’ 사이트 외에도 엔터테인먼트 사업부를 운영 중이다. 아이유를 소속 가수로 두고 있으며, 씨스타·케이윌·정기고·매드클라운 등이 속한 스타쉽, 에이핑크가 속한 에이큐브 엔터테인먼트 등이 자회사로 있다. 따라서 카카오의 모바일 플랫폼에서 로엔 소속 아티스트들의 독점 콘텐츠를 제공하는 등의 전략으로 서로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제로 카카오와 로엔은 이날 ‘경쟁력 있는 콘텐츠 생산 및 발굴을 통한 글로벌 진출 모색’과 ‘아티스트 중심의 모바일 창작 커뮤니티 제공으로 경쟁력 있는 콘텐츠 확보’를 각각 인수 배경의 하나로 꼽기도 했다.

물론, 카카오의 전방위 인수합병 행보를 두고, 몸집 불리기에 치중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 섞인 시선도 나온다. 카카오는 2014년 10월 다음커뮤니케이션과의 인수합병 이후 이렇다 할 실적을 내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카카오톡과 더불어 대중적인 성공을 거둔 카카오택시는 수익 모델이 없는 탓에, 다른 사업들에서 부지런히 수익을 내야하는 상황이다. 이 가운데 카카오는 최근 포도트리와 게임 퍼블리싱 전문기업 엔진을 인수하고, 투자전문 자회사 케이큐브벤처스가 341억 원(카카오 출자 100억 원 포함) 규모의 펀드를 조성하는 등 통큰 투자를 이어가고 있다.

정성열 파트장은 “무분별하게 사업을 확장하는 것이 아니라 신중하게 접근하고 있다. 모바일 플랫폼 기업으로서의 전체적인 방향성, 모든 것을 연결하겠다는 ‘커넥트 에브리씽(Connect Everything)’이라는 비전에 따라 전체적인 사업의 방향과 일치되는 선에서 투자 결정이나 인수를 진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ham@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