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미국의 ‘3대 적국’ 쿠바ㆍ이란ㆍ북한…북한만 역주행
[헤럴드경제=김성훈 기자] 2009년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취임 직전 “적과도 악수를 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여기서 말하는 ‘적’은 쿠바, 이란, 북한 등 세 개 국가를 말한다. 그로부터 7년이 지난 2016년 이 세 국가의 행보는 정반대를 향하고 있다.

북한은 4차 핵실험으로 국제 사회가 제재 수위를 올릴 것으로 전망돼 북한의 고립이 한층 심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일각에서는 과거 쿠바식 봉쇄와 같은 전면적ㆍ포괄적 경제 제재가 포함될 수 있다는 관측도 있고, 이란 제재 때 사용됐던 ‘세컨더리 보이콧’(북한과 거래하는 제3국 기관ㆍ기업에 대한 제재)이 검토되고 있다는 얘기도 흘러나온다.

[사진=게티이미지]

그러나 정작 원래 이러한 제재의 대상이 됐던 쿠바와 이란은 최근 들어 제재가 풀려 국제사회로 돌아올 채비를 하고 있는 상태다.

사회주의 혁명 뒤 1962년부터 미국의 무역 제재 조치를 당했던 쿠바는 지난해 7월 54년만에 미국과 상호 대사관을 재개설했다.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과 라울 카스트로 쿠바 국가평의회 의장 간 정상급 회동도 처음 이뤄졌다. 물론 미국의 대(對)쿠바 금수조치가 아직 해제되지 않는 등 양국 간에 풀어야 할 숙제도 많지만, 유엔이 미국의 쿠바에 대한 무역금지 조치 해제를 촉구하는 결의안을 압도적 표차로 통과시키는 등 화해 무드는 계속해서 조성되고 있다.

이달 7일에는 독일이 쿠바 수도 아바나에 무역사무소를 개설하고 교역 증진에 나섰고, 영국과 스페인 등 다른 유럽 국가들도 미국이 쿠바에 대한 경제 봉쇄 조치를 해제하기 전에 교두보를 마련하기 위해 분주히 움직이고 있다.

[사진=게티이미지]

이란 역시 마찬가지다. 이란은 지난해 7월 13년을 끌어온 핵협상이 타결되면서 국제 사회 복귀를 서두르고 있다. 미국은 이란의 핵무기 보유를 저지할 실질적 수단을 확보했고, 이란은 경제회복의 기회를 잡았다는 점에서 서로가 ‘윈윈’할 수 있는 협상을 한 것으로 평가된다. 이에 따라 이란에 대한 서방의 경제 제재도 조만간 해제될 예정이다.

일각에서는 미국, EU 등 서방국가들이 오랜 우방이었던 사우디아라비아와 거리를 두고 점차 이란과 가까워질 것이라는 전망마저 내놓는다. 시리아-이라크에 주둔하고 있는 IS를 퇴치하는 데 있어서 이란의 도움이 절실한 상황이기 때문이다. 알자지라는 “이란 핵협상이 타결되면서 미국의 중동 외교에 있어서 사우디에 대한 의존도가 약해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paq@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