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글로벌 증시 대폭락…‘퍼펙트 스톰’ 현실화됐다(종합)
[헤럴드경제=한석희 기자]중국발 금융시장의 불안이 글로벌 증시 대폭락으로 이어졌다.

중국의 위안화 가치절하로 시작된 글로벌 금융시장의 폭락은 상품시장으로까지 이어지면서 실물경제 마저 위협받는 것이 아니냐는 공포감이 극에 달하는 모습이다.

뉴욕증시에서 주요 지수는 위안화 약세, 중국 증시 거래 중단 등의 충격으로 급락했다.

7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392.41포인트(2.32%) 급락한 1만6514.10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도 전장보다 47.17포인트(2.37%) 내린 1943.09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146.33포인트(3.03%) 하락한 4689.43에 장을 마감했다.

중국 위안화 가치 절하 등으로 중국 증시가 폭락세를 보인 것과 유가 하락이 지속된 것이 증시 급락을 이끌었다. 위안화 추가 하락에 대한 우려도 투자 심리에 악영향을 미쳤다.

업종별로는 중국 경기에 영향을 받는 기술업종이 3% 넘게 떨어지며 가장 큰 낙폭을 기록했다. 에너지업종과 금융업종, 헬스케어업종, 산업업종, 소재업종도 각각 2%넘는 급락세를 연출했다.

알리안츠 인베스트먼트 매니지먼트의 존 브레드무스 부대표는 “하루 증시 변동성에 대해서는 크게 우려하지 않지만, 며칠 동안 불안한 흐름이 지속됐다”며 “세계 경제가 둔화하는 상황에서 미국 홀로 지속적인 성장을 이어갈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우려가 생겼다”고 말했다.



유럽증시도 폭락했다.

독일 프랑크푸르트 증시의 DAX 30지수는 7일(현지시간) 전날보다 2.29% 내린 9979.85로 거래를 마쳤다. DAX 30지수는 지난해 10월 이후 처음으로 이날 1만 선 아래로 떨어졌다.

영국 런던 증시의 FTSE 100 지수도 1.96% 하락한 5954.08에, 프랑스 파리 증시의 CAC 40지수 역시 1.72% 떨어진 4403.58에 각각 마감했다.

범유럽 지수인 Stoxx 50지수는 1.76% 내린 3084.14를 기록했다.

유럽 증시가 급락세를 보인 이유는 이날 중국 증시가 7% 이상의 폭락세를 보이며 개장 30분 만에 거래를 중단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맥라렌 증권의 테리 토리슨은 “중국 경기둔화 정도가 상당히 우려스럽다”며 “투자자의 심리가 매우 약한 상태”라고 설명했다.

조지 오스본 재무장관은 이날 웨일스의 카디프에서 열린 재계 모임에서 중국·브라질·러시아 등의 경제 하강, 원자재가격 하락, 중동 긴장 가속 등을 영국 경제의 잠재적 위협 요인들로 거론하면서 “위험한 칵테일”에 직면했다고 말했다.

그는 또 “2016년은 지속된 변화를 계속할 수 있는 한 해가 되든지 아니면 하락의 출발점으로 되돌아보는 한 해가 될 것”이라며 올해 영국 경제가 중대한 고비를 맞고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국제유가는 이날 전 세계적인 공급 과잉 우려에 중국 경제에 대한 우려감이 겹치면서 2004년 2월 이후 최저치로까지 떨어졌다.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2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 원유(WTI)는 전 거래일보다 70센트(2.1%) 떨어진 배럴당 33.27달러로 장을 마쳤다. 이는 2004년 2월 이후 최저치다. 서부텍사스산 원유는 장중 한때 32.10달러까지 주저앉았다.

런던 ICE 선물시장의 브렌트유는 43센트(1.3%) 내린 배럴당 33.80달러 선에서 거래되고 있다. 브렌트유도 장중 한때 32.16달러까지 내려앉았다. 이는 2004년 4월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이날 국제유가는 최근의 급락에 따른 저가 매수세 유입에도 공급 과잉 우려, 중국경제의 부진 우려 등의 요인이 겹쳐 하락세를 면치 못했다. 아울러 중국 위안화 추가 절하 가능성 때문에 뉴욕증시 등이 크게 떨어진 것도 유가에는 악재가 됐다.

반면, 안전자산에 대한 수요가 늘면서 금값은 올랐다.

뉴욕상품거래소에서 2월 물 금 가격은 전 거래일보다 15.90달러(1.5%) 오른 온스당 1107.80달러로 마쳤다. 지난해 11월 3일 이후 최고치다.

최근 이어진 뉴욕증시의 하락세, 중국 등 주요 국제 금융시장 불안 등이 안전자산에 대한 선호심리를 높여 금값이 올랐다.

/hanimomo@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