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아베 "위안부합의 완전해결...어떤 변경도 없다"
[헤럴드경제]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는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한일 합의의 성격에 관해 “인도적 견지인가 정치적 견지인가등 여러 견해가 있었지만, 이번 합의로 최종적이고 불가역적으로 해결됐다”고 7일 말했다.

교도통신에 따르면 아베 총리는 이날 참의원 본회의에 출석해 “1965년 일한청구권협정에 의해 법적으로는 완전하고 최종적으로 해결이 완료됐다는 입장은 이번 합의로 어떤 변경도 없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아베 총리는 또 “이번 합의를 근거로 양국이 힘을 합해 일한 신시대를 개척하고싶다”고 강조했다.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일본 외무상은 주한 일본대사관 앞에 설치된 일본군 위안부 소녀상에 관해 “한국 정부도 적절히 해결되도록 노력하겠다고 했다. 이전할 곳은 합의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하기우다 고이치(萩生田光一) 일본 관방 부(副)장관은 이날 일본 정부 대변인인스가 요시히데(菅義偉) 관방장관을 대신한 기자회견에서 소녀상에 관해 “우리도 이 상(像)이 모든 교섭의 전제라고 인식하는 것이 아니므로 그것을 당(자민당)도 이해할 것으로 생각한다”며 소녀상 이전이 일본 정부가 10억 엔을 내는 전제라는 점을 부인했다.

아베 총리 등의 이날 발언은 지난달 28일 윤병세 한국 외교부 장관과 기시다 외무상의 공동기자회견에서 ‘일본 정부는 책임을 통감한다’고 밝힌 것이 ‘법적 책임’을 인정한 것은 아니며 이번 합의로 문제를 완전하게 해결하게 됐다는 점을 강조한 것이다.

이는 이번 합의에 반발하는 일본 국내의 보수·우파를 특히 염두에 둔 메시지로여겨진다.

소녀상 이전이 일본 정부가 10억 엔(약 102억원)을 내는 전제 조건이 아니라는 인식을 표명한 것은 이런 취지의 이면 합의가 있었던 것처럼 암시하는 일본 언론의 보도가 이어져 한국에서 거센 반발이 일었던 것을 의식한 대응으로 보인다.

onlinenew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