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北 인공지진, 기상청 알리지 않은 이유는?
[헤럴드경제=박혜림 기자] 기상청이 6일 오전 북한 길주 북쪽에서 감지된 인공지진의 규모를 당초 발표한 4.2에서 4.8로 상향한 가운데, 기상청이 지진 발생 상황을 알리지 않은 이유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통상 국내외 지진 발생시 기상청은 지진 발생 상황을 문자나 팩스, 홈페이지 발표 등을 통해 국민에게 알린다.

그러나 이날 기상청 홈페이지에는 이날 오전 7시 일본 시즈오카 남남동쪽 1526㎞ 해역에서 발생한 규모 6.0의 지진 정보만 공지돼 있을 뿐, 북한 길주군 북쪽에서 관측된 지진 정보는 확인할 수 없다.

6일 서울 동작구 기상청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고윤화 기상청장이 제 4차 북한 인공지진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박혜림 기자 rim@heraldcorp.com

인공지진 발생은 국가 안보와 관련된 경우가 상당수라 국가안보매뉴얼에 따라 조치하도록 규정돼 있기 때문이다.

고윤화 기상청장은 이날 서울 동작구 기상청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10시30분1초 북측에서 제4차 핵실험을 했고, 우리 측에서 감지하는 덴 50초가 걸렸다”며, “그러나 인공지진은 국가안보랑 관련돼 있어, 일반 국민에겐 직접 발표하지 않고 나중에 정리해서 발표하는 절차를 따른다”고 설명했다.

기상청의 한 관계자도 “인공지진 발생시 기상청이 1차적으로 신호를 감지하는 기관이지만 핵 실험으로 인한 것인지, 다른 발파에 의한 것인지 확실히 해야 하기 때문에 여러 관계 기관들이 관측된 자료를 분석, 협의한 뒤 확실해지면 최종 발표하게 된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또 “최종 발표 시기는 사안의 민감도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정해진 시간이 있는 것은 아니다”라고 덧붙였다.

한편 이번 인공지진은 북한 양강도 풍계리 핵실험장 부근에서 발생했다.

가장 먼저 지진을 감지한 곳은 속초(10시30분48초)이며, 약 10초 후 마지막으로 울릉도에서 관측됐다.

기상청에 따르면 이번에 북한 핵실험과 관련한 방사성 물질이 발생하더라도 기류가 대부분 동쪽으로 불고 있어 남한에 영향은 없을 전망이다.

rim@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