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염산 안쓴 깨끗한 강진만 무산김 불티나
[헤럴드경제(강진)=박대성 기자] 청정해역으로 유명한 전남 강진군 신전면과 마량면 일대 강진만(灣)에서 1년에 4회만 채취가능한 무산김 채취가 한창이다.

6일 강진군에 따르면 올해 친환경 지주식 무산김은 김 양식장의 밀집을 예방하기 위해 ㏊당 시설량을 7책(1책 세로 2.2m×가로 40m)으로 제한해 강진만 616㏊에 6000여 책을 시설했다.

강진만이 선사하는 별미인 김은 청정해역에서 지주식으로 생산해 훨씬 풍부한 바다의 향과 맛으로 인기가 높다. 

특히 양식과정에서 파래나 잡티 등 불순물이 달라붙는 것을 죽이기 위해 일부 김 양식장에서 은밀히 사용되는 염산 등의 유기산 사용을 원천 배제한 ‘무산(無酸)김’을 채취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강진만의 지주식 양식법은 말뚝을 박은 뒤 김발을 매달기 때문에 조수 간만의 차로 하루 8시간 이상 햇볕에 노출돼 부유식에 비해 재배기간이 더 길고 채취 횟수는 적지만 맛과 향은 더 뛰어나다.

말발굽 모양의 내만이 잘 발달된 강진만은 물이 깨끗하고 담수의 영향을 받아 다른 지역의 김보다 품질이 우수해 100장 1속당 가격은 4000~7000원으로 다른 지역보다 속당 1000원 정도 비싸게 팔리고 있다.

군 관계자는 “오는 4월까지 친환경 무산김 60만 속이 생산돼 30억원의 어가소득을 올릴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강진군은 지난 2008년부터 친환경 김 양식사업을 위해 지주목, 발장, 작업바지선 관리기, 포장재, 저온저장고 등 28억 원을 투입해 지역 특산물로 육성하고 있으며 ‘해로달인 김’이라는 브랜드를 알리고 있다.

parkd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