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B등급 23곳도 C등급 전락할라”...대기업 19곳 한계기업 정리에 재계 긴장
[헤럴드경제=윤재섭 기자]지난 30일 금융감독원의 신용위험평가 결과에 따라 신용공여액 500억원 이상인 대기업 19곳이 채권은행 주도의 강도 높은 구조조정에 들어간 가운데 금감원이 앞으로도 신용위험평가를 강화하기로 해 재계가 긴장하고 있다.

특히 이번 신용위험평가에서 대기업 23곳이 요주의에 해당하는 B등급을 받은 것으로 나타나면서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사진은 이 기사와 직접적인 관계가 없음.


재계의 한 관계자는 31일 “내년에도 경기침체가 지속될 경우 한계기업들이 속출할 수 있어 걱정”이라고 말했다. 그는 “특히 미국의 금리인상에 따른 여파로 신용경색마저 나타날 경우 현재 B등급을 받은 기업 가운데 상당수는 극심한 자금난에 빠질 우려가 있다”고 덧붙였다.

금감원은 대기업 중 부실 위험이 큰 368곳을 대상으로 신용위험을 평가한 뒤 이 가운데 23곳을 B등급으로 분류했다. 또 부실징후가 있지만 경영정영정상화 가능성이 있는 C등급으로 11곳을, 경영정상화 가능성이 희박한 D등급으로는 8곳을 선정했다. C등급은 워크아웃(기업재무구선) 대상이고, D등급은 법정관리(기업회생절차)대상이다.

금감원은 채권은행의 자산건전성 분류에서 ‘요주의’ 이하로 떨어진 기업, 은행이 자체적으로 모니터링 대상(워치리스트)으로 삼은 기업을 대상으로 상시신용위험평가를 강화하겠다는 입장이다. 이번 수시평가에서도 이런 기업들이 포함됐다. 이와함께 건설, 철강, 해운, 석유화학 같은 경기민감업종 등에서 최근 2년 연속 이자보상배율(영업이익/이자비용)이 1 미만인 기업, 최근 2년 연속 영업활동 현금흐름이 마이너스인 기업, 최근 2년 연속 매출액이 20% 이상 감소한 기업도 평가 대상에 편입됐다.

따라서 경기회복이 더뎌질 경우 구조조정 대상으로 분류될 수 있는 기업들은 이번에 B등급을 받은 23곳에 그치지 않을 공산이 크다.

금감원 관계자는 “다만 내년 6월 상시평가 때까지는 구조조정대상 기업을 분류할 계획이 당장은 없다”고 말했다.


윤재섭 기자/i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