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미리보는 CES] 글로벌 전자·자동차 CEO 총집결…미래성장동력 모색
[헤럴드경제=권도경 기자]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6일부터 9일(현지시간)까지 열리는 세계 최대 가전전시회 CES 2016에 글로벌전자·자동차 업계 최고경영자(CEO)들이 대거 집결한다.

29일 CES를 주관하는 미국소비자기술협회(CTA)에 따르면 이번 CES에는 3600여개 업체가 참여한다. 자동차 관련 업체만 100개사 이상이 참여할 것으로 보인다. 주최 측은 자동차 관련 산업 전시면적을 지난해보다 25% 늘렸다고 한다.



CES 무대를 밟는 CEO들도 전통 가전업체와 전자업체, 자동차 관련 업체는 물론 IT·소프트웨어(SW)·웨어러블·헬스케어·로봇·3D 프린팅·센서 등 모든 분야에 걸쳐 망라돼 있다.

세계 주요 기업 CEO들은 시장 동향과 기술 트렌드를 살펴보면서 미래 성장 전략을 모색하는데 주력할 것으로 보인다.


▶삼성사장단 대거 미국행=라스베이거스컨벤션센터(LVCC)에 대규모 전시관을 여는 삼성 전자계열사 CEO들은 새해 CES 출장길에 올랐다. 삼성전자는 윤부근 삼성전자 소비자가전(CE)부문 대표이사와 새로 선임된 서병삼 생활가전 사업부장(부사장), 김현석 영상비디오사업부장(사장)이 라스베이거스로 향했다.

윤부근 대표는 예년처럼 기자간담회를 열고 신년 경영 계획을 밝힐 예정이다. 부품 (DS) 부문에서는 김기남 반도체총괄 사장이 참석한다. 자동차 부품 사업을 이끌게 된 박종환 전장사업팀장(부사장)도 동행한다.

박동건 삼성디스플레이 사장, 조남성 삼성SDI 사장, 이윤태 삼성전기 사장 등 전자계열사 CEO들도 대부분 참석한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전자업계의 전장이 스마트폰에서 스마트카로 급격하게 이동하는 만큼 이번 CES 전시회에 경영진들 대부분 참석해 시장 동향을 파악하고 고객사인 글로벌 업체들과의 협력을 모색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은 연초 국내 현안을 챙기고 전반적인 사업전략 구상에 전념하기 위해 이번 CES에는 참석하지 않는다.

LG전자는 지난 인사에서 지주사인 ㈜LG로 이동해 그룹 신성장사업을 총괄 지휘하게 된 구본준 부회장이 참석할 가능성이 크다.
지난 9월 독일 베를린에서 열린 IFA 2015의 개막 기조연설자였던 한상범 LG디스플레이 대표이사(부회장)도 현장을 찾는다. LG전자 생활가전 사령탑인 조성진 H&A(홈어플라이언스&에어솔루션) 사업본부장(사장)과 TV 사업을 맡은 권봉석 HE(홈엔터테인먼트) 사업본부장(부사장)도 동행한다.



▶ 자동차업계 GM의 바라 CEO 참석= 자동차업계에서는 정의선 현대차 부회장의 참석 여부가 관심이다. 정 부회장은 올해 1월 4년 만에 CES 전시장을 찾아 경쟁업체들의 스마트카 개발현황을 체크했다.

자동차업계에서도 GM의 메리 바라 CEO와 폴크스바겐의 헤르베르트 디이스 CEO가 참석한다. 특히 이들은 기조연설자로도 나선다. 18세에 산학실습생으로 GM과 인연을 맺고 한우물을 판 입지전적 경영자인 바라 CEO가 개인이동수단의 재정의를 주제로 연설한다. 바라 CEO는 프레젠테이션에 나서 GM의 순수전기차 볼트(Bolt)를 직접 소개할 가능성도 있다. 헤르베르트 디이스 CEO도 기조연설에 나선다.

기조연설자 중에는 콘텐츠업계 CEO들도 눈에 띈다. 유튜브(YouTube)의 대외협력담당 로버트 카인클 사장, NBC 유니버설의 스티브 버크(60) 사장, 미국 최대 스트리밍기업 넷플릭스(Netflix)의 리드 헤이스팅스(55) CEO도 기조연설자 명단에 합류했다.

CES ‘단골손님’인 인텔의 브라이언 크르자니크(55) CEO도 현장에 온다. 부활을 꿈꾸는 전자왕국 소니의 히라이 가즈오(平井一夫) CEO도 빠지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한편, 컨벤션센터 메인 전시장인 테크이스트에는 삼성·LG와 소니·파나소닉 등 한일 메이저 외에 TCL·창홍·하이센스 등 중국 TV·가전 메이저들의 CEO들도 대거 몰려올 것으로 예상된다.

/ kong@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