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위안부 담판 합의]대만ㆍ인도네시아, 우리에게도 동등한 대우를…中 “한국 위안부만이 희생자 아니다”
[헤럴드경제=이수민 기자]한국과 일본이 위안부 문제에 합의를 이루면서 중국과 대만, 인도네시아 등 일본군 위안부 피해국들의 보상 문제에도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한국 뿐 아니라 다른 국가의 피해자들에게도 같은 대우를 해야한다는 것이다.

중국은 ‘급하게 체결한’ 졸속 합의라는 비판적 입장을 내놓으면서도 “한국 위안부만이 희생자가 아니라는 점을 상기해야 한다”며 일본의 적극적인 자세를 요구하고 있다.


중국 신화통신은 29일 ‘일본, 위안부 문제 해결하려면 더 많은 성의, 행동 필요하다’라는 제목의 논평에서 “한일 양국간의 ‘새 시대’를 논하기 전에 일본은 한국 위안부만이 희생자가 아니라는 점을 상기해야 한다”며 “한 국가와만의 합의는 전체 위안부 문제 해결과는 크게 떨어져 있는 것”이라고 전했다.

신화통신은 특히 당시 피해 위안부 중에는 중국인 여성들이 포함돼 있다는 사실도 강조했다. 또 위안부 문제 해결이 성급한 협상이라는 반발이 있다고 지적하며 협상 내용이 다소 불충분하다는 뜻도 내비쳤다.

일본 마이니치신문에 따르면 대만 외교부는 28일 한일 양국간 위안부 합의 타결 후 일본 주재 자국 대표부에 대만의 위안부 피해자에게도 한국과 동등한 조치를 취해 달라고 일본 정부에 요구할 것을 지시했다.

일본 교도통신에 따르면 엘리너 왕 대만 외교부 대변인은 이와 관련해 “일본 정부가 위안부 문제를 해결하고자 긍정적인 행동을 취하기로 결심했다면 그 범위는 포괄적이어야 하고 대만의 위안부 여성도 포함해야 한다”고 말했다.

인도네시아 또한 위안부 합의 타결 소식을 신속하게 보도하면서 큰 관심을 보이고 있다. 인도네시아뉴스넷은 이날 “위안부 문제 해결 지지자들은 최대 20만명의 피해자들이 존재하며 대부분은 한국인이지만 중국인과 동남아시아인들도 포함돼 있다고 말한다”면서 “이번 위안부 합의는 일본 정부가 처음으로 위안부 여성들에게 직접적인 보상을 제공하고 책임을 인정한 것”이라고 전했다.

이에 따라 다른 위안부 피해국들 또한 한국과 비슷한 수준의 합의를 이끌어낼 수 있을지 주목된다. 다만 대만과 인도네시아, 필리핀 등은 일본측이 20년 전 마련한 ‘여성을 위한 아시아평화국민기금(아시아여성기금)’을 큰 반발없이 받아 들였다는 점에서 합의 과정에서 차이가 있을 가능성도 있다.

아시아여성기금은 민간 모금액을 기반으로 발족한 것으로 일본은 이 기금으로 한국, 대만, 필리핀, 인도네시아, 네덜란드 등 5개국의 피해자 285명에게 1인당 200만엔의 위로금(약 1900만원)을 지원했다. 또 정부 예산을 통해 1인당 300만엔(약 2900만원)의 의료비도 지급했다.

그러나 한국에서는 일본의 ‘국가책임 회피’ 비판이 제기되며 위로금 수령 거부 운동이 벌어지는 등 반발이 커 한국 정부가 인정한 207명의 피해자 가운데 61명만이 기금의 지원을 받았다.

대만, 필리핀 등 동남아시아의 경우 아시아여성기금을 통해 일본군 위안부 문제가 어느 정도 봉합 수순을 밟았다는 점에서 향후 일본과의 합의 과정에서 한국에 비해 난항을 겪을 수 있다.

한편, 마크 토너 미국 국무부 대변인은 이날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한국 이외에도 중국이나 필리핀 등지에도 위안부 피해자들이 있는데, 일본이 한국과 마찬가지의 태도로 협상할 것으로 보느냐’는 질문에 “남아있는 모든 불만들에 대한 해답이 될 수 없지만 앞으로 나아가는 중요한 걸음”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우리는 그동안 일본군에 의해 성(性)을 목적으로 여성들을 인신매매한 것은 끔찍하고 지독한 인권위반이라고 수차례 밝혀왔다”며 “오늘의 합의가 치유를 촉진하고 양국간 관계를 개선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믿는다”고 덧붙였다.

/smstory@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