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금융안정보고서]가계 소득보다 빚이 더 빠르게 늘고 있다
[헤럴드경제=강승연 기자]우리 가계소득이 정체된 반면 부채 규모는 1200조원에 육박할 정도로 불어나면서 가계 재무건전성이 위협받게 됐다는 한국은행의 진단이 나왔다.

22일 한은이 국회에 제출한 금융안정보고서에 따르면, 가계부채(가계신용통계 기준)는 9월 말 현재 1166조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10.4% 증가했다.

가계부채는 올 3분기 동안에만 35조원이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한은이 가계부채 통계를 작성한 2002년 이후 분기 증가폭으로는 최대치다.



가계부채 증가의 주요 원인으로는 부동산 대출이 지적됐다. 주택담보인정비율(LTV)과 총부채상환비율(DTI) 규제가 완화되고 대출금리가 하락하면서 주택경기가 개선됐고, 분양호조로 집단대출이 꾸준히 증가했다는 게 한은의 판단이다.

특히 한은은 가계소득 증가 속도에 비해 가계부채가 빠르게 늘고 있다는 데 주목했다.

가처분소득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9월 말 현재 143.0%(추정치)로 3월 말(138.0%)에 비해 5.0%포인트 상승했다. 이는 2003∼2014년 연평균 상승폭(2.4%포인트)을 크게 상회하는 것이다.

[사진=게티이미지]


우리나라의 가처분소득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글로벌 금융위기가 있었던 2008년 연말에 비해 2014년 연말 현재 무려 19.9%포인트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OECD 회원국 평균 상승률이 1.6%포인트인 것과 비교하면 큰 폭으로 상승한 것이다.

이에 대해 한은은 가계부채 증가세가 확대된 가운데 경기 회복세가 둔화돼 가처분소득 증가세가 정체됐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한은은 이에 따라 가계 재무건전성이 전반적으로 저하됐다고 지적하고 향후 우리 경제에 부담을 줄 수 있다고 우려했다.

한은은 “향후 급격한 금리 상승 등 거시경제 충격이 발생할 경우 영세자영업자 등 취약계층을 중심으로 부실가구가 증가할 가능성이 있다”면서 “가계 재무건전성에 대해 계속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spa@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