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알뜰폰 점유율 10% 돌파...통신비 절약 대안으로 자리잡다
[헤럴드경제=최정호 기자] 통신비 절감을 목표로 등장한 알뜰폰이 이동통신 시장 점유율 10%를 돌파했다. 통신비 절감을 위한 대안에서, 이제는 ‘대세’로 자리잡은 모습이다.

16일 미래창조과학부는 지난달 30일 기준으로 알뜰폰 가입자가 584만8000명으로 점유율 10.1%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전체 이동통신 가입자 5778만 명의 10명 중 1명 꼴로 알뜰폰을 사용하고 있다는 의미다.


알뜰폰(MVNO)는 이통 3사(MNO)의 통신망을 도매로 임차해 저렴한 요금으로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이동통신 서비스의 일종으로, 2011년 7월 국내에 도입됐다. 미래부는 “제도도입 이후 4년4개월만에 10%라는 점유율을 기록했다며, 알뜰폰 도입시 1인당 GDP, 이동전화 보급률, 1위 사업자 시장점유율, MNO수 등을 고려하면 해외 주요국(프랑스, 스페인 각 6년)과 비교해 볼 때 점유율 10% 달성 속도는 매우 빠른 편”이라고 평가했다.

2013년 3월 155만명에 불과했던 알뜰폰 가입자는 매달 평균 13만4000명씩 늘고 있다. 이통 시장 자체가 이미 포화상태에 접어들었다는 점을 감안하면, 기대 이상의 성과라는 분석이다.

국내 알뜰폰 사업자는 SK텔레콤 망을 빌려 서비스하는 SK텔링크․유니컴즈 등 12개사, KT의 망을 임차하는 CJ헬로비전, 에넥스텔레콤 등 20개사, LG유플러스의 인스코비, 머천드 코리아 등 14개사 포함 모두38개사에 달한다. 또 최근에는 CJ헬로비전, 이마트 알뜰폰 등 복수 사업자의 망을 빌려 보다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도 늘고 있다.


SK텔레콤 망 임대 사업자의 가입자수는 266만명, KT망 사업자는 273만명, LG유플러스 망 사업자는 45.3만명으로, 3사망의 가입자 점유율은 각각 45.5%와 46.7%, 7.8%다. 다만 최근 SK가 KT망을 주력으로 임차, 서비스했던 국내 최대 알뜰폰 사업자인 CJ헬로비전을 인수, 점유율의 큰 변화가 예상된다.

미래부는 알뜰폰의 통신비 절감 효과가 소비자 1명당 최고 연간 24만원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했다. 기존 이통사 서비스를 이용할 때 보다 56%의 통신비를 절약할 수 있다는 것이다. 미래부는 이통 3사의 평균 ARPU(가입자당 매출) 3만6481원과 알뜰폰 사업자의 후불 가입자 평균 ARPU 1만6026원의 차이를 이용해 경제적 효과를 산출했다.

이 같은 알뜰폰 가입자의 확산은 서비스 업체들의 경영 실적 개선으로도 이어지고 있다. 올해 3분기까지 집계된 알뜰폰 서비스 매출은 4908억원으로 지난해 전체 매출액을 이미 넘어섰다. 영업이익 역시 2012년 –562억원, 2013년 –908억원, 2014년 –965억원 등 매년 적자가 늘던 모습에서 벗어나 올해들어 –596억원으로 감소 추세로 돌아섰다.

미래부는 “대기업 계열 사업자들은 LTE, 신형 중 고가 스마트폰에 대한 수요 대응과, 이통 3사와의 직접 경쟁으로 인해 중소 사업자에 비하여 많은 추가 비용이 발생하고 있지만, 유통망, 영업전산 등에 대한 초기 투자가 마무리되고, 규모의 경제가 어느 정도 달성되면서 2013년을 정점으로 2014년부터는 감소하는 추세로, 2015년에는 흑자 전환에 성공한 사업자가 출현할 것”으로 기대했다.


실제 대기업 계열 한 알뜰폰 업체의 경우 2012년 387억원에 달했던 영업적자 금액이 지난해 158억원으로 줄어든데 이어, 올해는 40억원 흑자로 돌아섰다. 또 중소 선발 알뜰폰 사업자들의 경우 이미 대부분 흑자 시연에 성공했다.

조규조 미래부 통신정책국 국장은 “통신시장 경쟁촉진을 통한 요금인하 정책이라는 큰 방향에서 알뜰폰이 점유율 10%를 달성하는 소기의 성과를 이뤘지만, 이제는 내실있는 성장을 위한 사업자와 정부의 노력이 더욱 더 필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기존 이통사와 차별화된 상품과 서비스 추가 개발, 아직은 취약한 개별 사업자의 가입자 기반과 재무적 능력 확충, 시장확대를 견인할 선도 사업자의 부재 해소 등 해결해야 할 과제가 산적해 있다는 설명이다.

choijh@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