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최 부총리, “노동개혁법 국회 통과돼 청년들에 희망 줘야”…재계, 결혼ㆍ출산ㆍ양육 친화적 기업문화 조성 선언
[헤럴드경제=이해준ㆍ윤재섭 기자] 경제계가 저출산 극복을 위해 결혼ㆍ출산ㆍ양육에 친화적인 기업문화를 조성하는 데 앞장서기로 했다.

전국경제인연합회, 대한상공회의소, 무역협회, 중소기업중앙회, 경영자총협회 등 경제 5단체는 15일 오전 서울 광화문 프레스센터에서 저출산 극복을 위해 결혼ㆍ출산ㆍ양육에 친화적인 기업문화를 조성해 나가겠다고 선언했다.

허창수 전경련 회장, 김인호 무역협회 회장, 박병원 경총 회장, 박성택 중기중앙회 회장, 이동근 대한상의 부회장 등 경제 5단체대표들은 이날 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정진엽 보건복지부 장관, 이기권 고용노동부 장관, 김희정 여성가족부 장관 등과 만나 저출산 극복 방안에 대해 논의한 뒤 이같은 내용의 경제계 실천 선언문을 발표했다.

최 부총리는 이 자리에서 “노동개혁 관련법이 국회에서 통과돼 청년들에게 일자리, 더 나아가 결혼ㆍ출산에 희망을 줄 수 있기를 당부한다”며 노동개혁 관련 5개 법안의 국회통과를 재차 강조했다. 이어 “일자리 문제는 청년들이 결혼생활을 주저하게 하는 주요 요인”이라고 지적하고 “결혼 후에도 장시간 근로로 직장과 가정을 병행하기 어려워 출산을 뒤로 미루거나 기피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최 부총리는 “야근도 많고 퇴근시간도 불규칙해 오죽하면 우리나라에는 전기밥솥의 예약기능보다 사물인터넷 연결이 더 필요하다는 말이 있을 정도이냐”며 개탄하기도 했다.

최 부총리는 저출산 대책과 관련, “출산 친화적인 환경조성은 실제 일자리 창출의 주체인 기업의 협조와 참여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일가정 양립제도의 실천을 위해서는 기업의 인식과 문화, 제도가 변화돼야만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허창수 전경련 회장은 “저출산 극복을 위해 일자리 확대, 주택보급, 보육시설 확충 등을 담은 정부의 제 3차 저출산ㆍ고령사회 대책에 추가적으로 사교육비 완화나 전국민이 공감할 수 있는 출산장려 캠페인도 추진돼야 할 것”이라고 화답했다.

선언문에는 결혼과 출산을 위해 청년 일자리를 늘리고, 장시간 근로문화를 개선해 가족친화적인 기업문화를 확산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또 출산ㆍ육아를 위해 마련된 제도가 정착될 수 있도록 노력하고, 국공립 보육시설 확대와 발맞춰 직장 어린이집을 확대해 나가겠다는 약속이 포함됐다. 아울러 남성들도 자유롭게 육아휴직을 사용할 수 있게 하고, 모범사례를 공유ㆍ확산하기 위해 민관합동 협의 채널에 적극 참여하겠다는 다짐이 담겨있다.

hjle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