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우리는 아직 그 바다를 떠나지 못했습니다”
[헤럴드경제=신동윤 기자]“진상규명을 바라는 희생자와 유가족의 염원을 마음에 담고 청문회에 임하겠습니다. 국민여러분께서는 참사 진상 규명을 위한 전 과정을 지켜봐주십시오.“(이석태 위원장)

이석태 4ㆍ16 세월호 참사 특별조사위원회 위원장은 14일 서울 명동 YWCA회관 대강당에서 열린 ‘4ㆍ16 세월호참사 특별조사위원회 제1차 청문회’에서 인사말을 통해 ”보통의 해상사고일 수 있었던 상황이 거대한 비극과 참사로 이어진데는 정부의 대응 문제가 원인이라고 보고 있다“며 ”방대한 양의 문서와 자료를 수집ㆍ조사한 만큼 해경을 비롯한 구조 세력이 탑승객들을 왜 구하지 못했는지 반드시 확인하겠다“고 말했다.

14일 서울 명동 YWCA회관 대강당에서 열린 ‘4ㆍ16 세월호참사 특별조사위원회 제1차 청문회’에서 이석태 위원장이 인사말을 하고 있다.


세월호 참사의 진상을 밝히기 위한 청문회는 14일부터 오는 16일까지 사흘간 개최될 예정이다. 특히, 14일 첫날 청문회에는 ‘세월호 참사 초기 구조ㆍ구난 및 정부 대응의 적정성’에 대한 내용이 다뤄진다.

본격적인 청문회에 앞서 진행된 모두진술에서 전명선 4.16 세월호 참사 진상규명 및 안전사회 건설을 위한 피해자 가족협의회 운영위원장은 “(저는)지난해 4월 16일, 수학여행을 가던 단원고 2학년 7반 찬호 아빠”라며 “바다 위에서 배가 침몰해도 구조도 못하는 국가에서 살고 있는 여러분 모두가 이 자리에 서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청문회는 진실을 밝히는 긴 여정이자 우리들의 사랑을 지키는 방법을 찾는 시간”이라며 “증인은 양심을 걸고 말해줄 것을 요구하며, 특조위원 역시 개인이 아닌 국민의 목소리를 대변하는 마음으로 청문회에 임하라”고 요청했다.

이날 청문회에는 김석균 전 해양경찰청장과 김수현 전 서해해경청장, 김경일 전 123정장 등 세월호 침몰을 전후해 현장에서 구조와 대응을 맡았던 해경 지휘라인이 증인으로 출석했다.

이들에 대해 특조위 위원들은 해경의 선내 진입이 늦어진 이유와 상급 기관 보고 절차 및 내용, 민간잠수사 사망 사건의 부실수사 의혹 등에 대해 집중 추궁했다.

한편, 이날 청문회에 앞서 서울 명동 일대에는 청문회 개최를 반대하는 대한민국 고엽제 전우회 등 보수단체의 집회와 찬성하는 시민단체들의 집회가 줄을 이었다.

realbighead@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