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미 금리인상 임박]한국경제 영향은…한계기업ㆍ가계 부담 증가, 신흥국 위기 전염 우려
[헤럴드경제=이해준 기자]미국의 금리인상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커진다. 미국이 금리인상을 하겠다는 것은 미국의 경제상황이 호전되고 있음을 반영하는 것으로, 수출여건이 다소 개선되는 효과는 있겠으나 현재로서는 기업과 가계의 금융비용 증가와 신흥국 위기 심화 등 불안요인이 더 많다.

세계경제를 이끌어가는 미국의 힘이 약화된 상태여서 미 경제의 호전보다는 금리인상의 부정적 영향이 크다는 지적이다. 특히 미 금리인상이 중국의 위안화 절하와 겹칠 경우 한국을 비롯한 세계경제가 또다시 위기의 소용돌이에 빠져들 가능성이 많다.



미국의 금리인상이 한국경제에 미치는 충격은 대체로 세가지 경로가 예상된다. 첫째는 미국과의 금리동조화로 인한 기업과 가계의 부담 증가이며, 둘째는 자금이탈로 인한 신흥국 위기의 전염 가능성, 세째는 중국 위안화 등 통화전쟁의 재연 가능성이다.

첫째 미국과의 금리동조화로 장기금리 상승 가능성이 있다. 미국이 오는 15~16일 통화정책 회의에서 금리를 인상더라도 한국으로선 경기가 부진해 기준금리를 올릴 상황이 아니다. 한국은행도 당분간 기준금리를 올리지 않고 현재의 낮은 금리를 유지하거나 경기가 악화할 경우 내년초 금리를 추가로 인하할 가능성도 있다. 따라서 단기금리는 큰 변동이 없겠지만, 문제는 장기금리다.

LG경제연구원이 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한국과 미국의 금리변동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1일물과 3개월물, 1년물의 상관계수는 0에 가까운 반면 3년물은 0.18, 10년물은 0.50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의 장기금리가 1%포인트 오를 때 한국의 1일~1년물 금리는 거의 변동이 없는 반면 3년만기 채권금리는 0.18%포인트, 10년만기 채권금리는 0.5%포인트 오른다는 얘기다.

특히 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미 금리변동에 따른 반응도가 높아져 한국의 장기금리 상승 가능성이 매우 높다. 국내의 통화정책 기조는 물론 경기의 뚜렷한 개선이 없는 상태에서 금리가 오를 경우 기업과 가계의 부채문제가 더욱 악화될 수 있다.

LG경제연구원의 이창선 수석연구위원은 “미국이 금리를 인상할 경우 신용도가 취약한 기업들의 회사채 등 비우량 채권의 금리를 끌어올리는 요인이 될 것”이라며 “신용등급 하락기업이 늘어나고 기업들의 금융비용 부담이 높아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둘째 신흥국의 동반위기 가능성은 이미 부분적으로 현실화하고 있다. 저유가 등 원자재 가격 하락으로 러시아와 브라질, 터키, 말레이시아 등 일부 신흥국들의 경제불안이 심화하고 있고, 미 금리인상이 단행될 경우 자본이탈이 가속화할 전망이다.

미 금리인상은 달러화 강세를 심화시킬 것으로 전망되는데, 이미 올해초부터 글로벌 투자자금이 신흥국에서 미 달러화로 이동하고 있다. ‘전염성’이 강한 위기의 속성상 앞으로 신흥국 위기가 심화하면 한국도 그 파장을 피해가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세번째 경로는 중국의 경기둔화와 위안화 평가절하다. 중국은 미 금리인상이 임박하자 위안화 환율의 결정방식을 종전의 달러화 중심에서 다국적 통화로 바꾸기로 하고 13개 주요 교역국 통화로 구성된 통화바스켓 보조지표를 발표했다. 미 금리인상으로 달러가치가 오르더라도 위안화 가치를 떨어뜨리거나 현재 수준을 유지해 수출 등에서의 경쟁력을 유지하겠다는 포석이다.

때문에 미 금리인상 후 자국기업의 경쟁력 유지를 위해 중국이 위안화를 절하할 가능성이 있으며, 이는 다시 글로벌 환율전쟁을 축발할 가능성이 있다. 이미 신흥국들의 통화가치가 하락하고 있는 상태에서 연쇄적인 통화가치 하락 가능성도 높은 상태다.

이러한 대외 불안요인들은 한국의 수출환경을 더욱 악화시킬 가능성이 있다. 중국에 대한 수출의존도가 25%에 달하는 것을 비롯해 신흥국 의존도가 높은 한국의 수출구조를 볼 때 미국의 금리인상은 앞으로 당분간 수출 회복을 제약할 것으로 보인다.

물론 한국의 펀더멘털은 상대적으로 양호하다. 과거와 달리 한국의 외환보유고가 3700억달러에 이르고, 경상수지도 연 1000억달러 흑자를 기록하고 있다. 문제는 수출 감소로 위기에 처한 기업이 늘어나고, 가계부채가 1160조원을 넘어 한계상황에 이르는 등 ‘약한 고리’가 많다는 점이다. 거시건전성이 양호하다 하더라도 위기는 이런 취약 부위로 침입해 경제 전체를 뒤흔들 수 있다는 지적이다.
 

hjle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