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파리 기후협정]기업들 반응은…“원칙 찬성하지만 경영에 부담…대응책 마련 부심”
[헤럴드경제]파리 기후변화 협정에 대해 기업과 재계에서는 원칙은 찬성하지만 경영에 부담이 될 것을 우려하고 있다. 국내 경제계는 특히 각 업종과 기업에 미칠 영향을 따지느라 분주한 가운데 경영의 어려움을 우려하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재계의 한 인사는 “우리나라 2030년 온실가스 감축목표가 배출 전망치 대비 37%로 상당히 의욕적인 수준”이라며 “기업들은 현재 1∼2% 수준의 추가 감축 여력도 크지 않은데 앞으로 상당한 감축 부담이 생길 것”이라고 말했다.

이 인사는 “철강, 석유화학 등 우리나라 주력 산업의 에너지 효율화 수준은 세계 최고 수준이어서 추가 감축이 쉽지 않다”며 “5년마다 추가 감축이 이뤄지면 제조업의 부담이 심화하고 개도국으로의 기업 이전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우려했다.

실제로 우리나라에서 탄소배출권을 필요로 하는 기업은 많은데 내놓을 기업은 없어 거래가 거의 이뤄지지 않는 실정으로 향후 국제거래 시장이 조성되면 우리 기업들이 최대 수요자가 될 가능성이 크고 추가 원가부담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이다.

이에 비해 태양광, 풍력 등 신재생 에너지나 대체 에너지 관련 사업에 나선 기업들은 호재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다른 업종 가운데 에너지 다소비 업종인 철강, 석유화학업계는 직격탄을 맞을 가능성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철강업의 경우 그렇지 않아도 중국산 저가 제품이 밀려오고 전세계가 과잉공급 상태라 판매 단가가 낮아지고 있는데 탄소 추가배출권까지 구매해야 하면 원가부담으로 국제 경쟁력이 더욱 악화될 가능성이 있다. 조선업계는 앞선 친환경 선박 건조 기술 등으로 장기적으로는 기회가 될 수 있다는 점은 인정하면서도 당장 규제강화 등이 미칠 영향을 우려하고 있다.

hjle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