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리얼푸드]매주 한 조각씩…크리스마스 빵 ‘슈톨렌’ 먹어볼까
[헤럴드경제=도현정 기자] 한국이 12월을 목전에 두고 김장으로 들썩인다면, 유럽은 크리스마스에 먹는 음식에 대한 관심으로 설레기 시작한다.

특히 독일에는 12월 초부터 만들어두고 크리스마스를 기다리게 하는 빵이 있다. 최근 많은 베이커리에서 겨울 상품으로 선보여 국내에도 친숙해진 ‘슈톨렌’이 그 주인공이다.

슈톨렌은 독일의 대표적인 전통빵으로, 이스트를 사용해 발효시킨 뒤 구워낸 담백한 빵이다. 보통 건포도와 견과류, 계피 가루를 넣고 만든 후 식으면 슈가파우더를 뿌려 장식을 한다. 계피 특유의 알싸한 향과 더불어 고소하고 달콤한 맛이 은은하게 퍼지는 게 특징이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독일에서는 12월 초부터 슈톨렌을 만들어놓고 일요일마다 빵을 1조각씩 잘라 먹으며 크리스마스를 기다린다. 슈톨렌은 2~3개월까지 보관할 수 있을 정도로 보존성이 뛰어나다. 오히려 시간이 흘러 숙성될수록 촉촉한 질감이 더해진다.

크리스마스를 상징하는 빵이라는 점에서 이탈리아의 ‘파네토네’와 비슷하지만, 겉모양에서 결정적인 차이가 있다. 파네토네는 빵 윗부분이 부푼 원형이지만 슈톨렌은 반달을 떠올리게 하는 반원형이다.

이 모양은 옛 독일 수도사들이 어깨 위에 걸쳤던 반원형의 가사(袈裟) 모양을 본 따서 만들었다는 설이 전해진다. 예수 그리스도의 요람 모양을 본 따서 만들었다는 설도 있다.

지금의 슈톨렌은 말린 과일과 슈가파우더 덕분에 달콤한 맛을 지니지만, 초기에는 단단하고 달지 않은 형태의 빵이었다. 특히 중세에는 크리스마스를 기다리는 4주 동안 버터와 우유의 사용을 금하는 풍습이 있어서, 이 기간에는 밀가루와 효모, 물로만 빵을 만들 수 있었다. 자연히 이 시기에 만드는 슈톨렌도 퍽퍽한 식감을 가질 수밖에 없었다.

슈톨렌이 지금과 같은 윤기를 갖게 된 것은 1491년 교황 인노첸시오 8세가 성탄 전 4주간의 기간 동안 버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허락한 ‘버터 서간(butter letter)’을 보낸 이후부터다.

슈톨렌에 대한 독일의 사랑은 각별하다. 드레스덴 지역에서는 매년 12월초에 슈톨렌 축제가 열린다. 드레스덴 슈톨렌 보전협회 회원들은 축제 일주일 전부터 무게가 3~4t에 달하는 대형 슈톨렌을 만든다. 대형 슈톨렌은 행사의 하이라이트인 퍼레이드에서 선보이며, 축제 홍보대사인 ‘슈톨렌 아가씨’가 빵을 잘라 관람객들에게 판매한다. 수익금은 자선단체에 기부한다.

kate01@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