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YS서거]9선 의원의 마지막 등원, 국회서 영결식 거행
[HOOC=김성환 객원 에디터]헌재 헌정사상 최연소, 최다선(9회) 국회의원이 마지막 등원을 했습니다. 그의 마지막 길에는 올해 들어 서울지역 첫 눈이 내렸습니다.

26일 오후 2시 고(故) 김영삼 전 대통령의 영결식이 시작됐습니다. 빈소인 종로구 서울대학교 병원을 떠난 김 전 대통령의 운구 행렬이 서울 여의도 국회의사당에 도착하자 국기에 대한 경례를 시작으로 영결식 본행사가 거행됐습니다. 



영결식장에 참석한 정부측 장례위원과 주한외교단, 조문사절, 유가족 관련 인사 등은 고인에 대한 묵념으로 마지막 가는 길을 배웅했고 부인 손명숙 여사와 차남 현철씨 등 유족들의 눈에는 눈물이 고이기도 했습니다.

이날 그의 마지막 길에는 정부측 장례위원 2222명을 비롯해 주한외교단과 조문사절 80여명, 유가족 관련 인사 100여명, 각계인사 7900명 등 총 1만여명이 모여 고인을 추모했습니다.

[사진=헤럴드경제DB]


행사 첫 순서로 정종섭 행정자치부 장관은 김 전 대통령의 약력을 발표했습니다. 김 전 대통령은 1954년 국회의원에 당선, 현재 헌정사상 최연소, 최다선(9선)이라는 기록을 남겼습니다.

1969년 ‘40대 기수론’을 주창하며 한국 정치에 새로운 기운을 불어넣은 김 전 대통령은 1975년 신민당 총재에 선출되며 한국정치사의 거물로 본격 등장했습니다. 이어 의원직 제명과 2차례 가택연금 등 고초도 겪었고 1983년에는 23일간의 단식투쟁으로 민주화 운동의 상징이 됐습니다. 이후 6월 항쟁을 통해 대통령 직선제의 계기를 마련했죠.

3당 합당을 거쳐 1992년 14대 대통령에 당선돼 이듬해 문민정부를 출범시킨 김 전 대통령은 이후 하나회 해체, 지방자치 전면 실시, 금융실명제 부동산실명제 공직자재산공개 등의 성과를 남겼습니다.

장례위원장인 황교안 국무총리는 이날 조사를 통해 “김 전 대통령은 평생 우리나라의 민주화를 위해 헌신하신 정치철학과 민주주의에 대한 신념으로 국민과 더불어 민주화의 길을 걸으셨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나라를 위해 헌신하신 대통령님의 발자취를 우리 국민은 잊지 않을 것”이라고 추도했습니다.


sky04@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