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인천시, 2030년 도시기본계획안 확정… 계획인구 350만
[헤럴드경제=이홍석(인천) 기자]인천시가 ‘2030년 인천 도시기본계획안’을 확정했다.

시는 지난 25일 시청에서 도시계획위원회를 열고 오는 2030년 미래상을 ‘사람 중심의 국제ㆍ문화ㆍ관광도시’로 설정하고 맞춤형 원도심 사업 추진, 친환경 녹색도시 조성, 지역 특성 살린 경제활성화, 인천 고유의 문화ㆍ관광 인프라 구축 등 7대 중점전략을 세웠다.

시는 ‘사람 중심의 국제ㆍ문화ㆍ관광도시’ 설정과 관련, 주민참여 및 지역자원을 활용한 맞춤형 원도심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7대 중점전략은 ▷누구나 공감하고 우리가 지켜가는 친환경 녹색도시 조성 ▷공항, 해양 등 지역별 특성을 살린 산업진흥과 경제활성화 ▷인천 고유의 문화 및 관광 인프라 구축 ▷지속가능한 교통ㆍ물류체계를 갖춘 세계적인 해양도시 ▷생애주기별 맞춤형 사회복지 정책 추진 ▷다양한 교육의 질적 향상 등이다.

오는 2030년 인천시 계획인구는 현재보다 50만명 늘어난 350만명으로 예측됐다.

가구당 인구는 현재 2.60명에서 2.35명으로 줄고 고용률은 현재 63%에서 70%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토지이용계획으로는 도시기본계획구역은 기정 143만9349㎢에서 용유ㆍ무의 개발계획 2단계 제척 및 왕산마리나 해면부, 무의 쏠레어리조트 해면부, 삼목항, 예단포항 등 어항구역이 추가로 반영되어 138만1348㎢로 변경됐다.

시가화용지는 기정 28만7997㎢에서 2만4637㎢ 감소한 26만3360㎢로, 시가화예정용지는 장래 인구 및 경기전망을 고려해 개발사업을 축소함에 따라 기정 12만5405㎢에서 9만2512㎢로 3만2893㎢ 감소했으며, 보전용지는 기정 102만5,947㎢에서 102만5476㎢로 0.471㎢ 감소했다.

생태하천복원율은 10%에서 40%로, 평생교육 기관 수는 180개에서 250개로 늘어날 전망이다.

철도망은 경인선 지하화, 인천발 KTX 연결, 서울지하철 9호선 인천공항 연장, 서울 7호선 석남ㆍ청라 연장, 수도권매립지ㆍ검단산업단지 연장 등 대중교통 중심의 철도망을 구축하는 계획을 세웠다.

광역도로망은 남북 3축, 동서4축 계획을 유지하기로 했다.

이밖에 도시공간구조를 4도심, 3부도심, 9지역중심, 4발전축의 다핵형 중심지체계로 설정했다.

도시공간구조는 ▷동인천ㆍ구월, 청라ㆍ가정, 부평ㆍ계양, 송도ㆍ연수를 4도심으로 ▷영종, 소래ㆍ논현, 검단을 3부도심으로 ▷강화, 길상, 오류, 검암, 가좌, 용현, 만수, 서창, 옹진을 9지역중심으로 정했다.

발전축 구상은 영종ㆍ동인천ㆍ구월ㆍ부평ㆍ부천ㆍ서울을 연계하는 도시재생축과 일산ㆍ검단ㆍ청라ㆍ동인천ㆍ송도ㆍ안산을 연계하는 미래성장축, 영종ㆍ청라ㆍ검암ㆍ계양ㆍ서울을 연계하는 국제기반축, 개성ㆍ강화ㆍ길상ㆍ영종ㆍ송도ㆍ안산을 연계하는 평화벨트축 등 4발전축으로 설정했다.

시는 지난 3월 기초조사에 착수한 후 시민공청회, 시의회 의견청취, 관계 행정기관 협의를 거쳐 이날 최종안을 확정했다.

gilbert@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