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접착제 없는 ‘바이오스탬프’ 개발…대량제조도 가능
[헤럴드경제=조용직 기자] 접착제를 쓰지 않고도 피부에 붙이면 떨어지지 않는 한차원 진보한 ‘바이오스탬프’가 개발됐다. 또한 제작 면에서도 면적을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고, 대량생산도 가능해 대중화를 한껏 앞당길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일본 와세다대학 선진이공과학연구과 연구팀은 이탈리아 정부 출연기관인 이탈리아기술연구소(IIT)와 공동연구를 통해 두께가 230나노미터(㎚, 1㎚=10억분의 1m)에 불과한 바이오스탬프를 개발했다고 와세다대학 뉴스사이트를 통해 지난 18일 발표했다.

롤투롤 공정에 의해 대량생산 가능한 도전성 고분자로부터 만들어지는 전자나노반창고(바이오스탬프). [사진출처=와세다대 공식페이지]

바이오스탬프는 한마디로 몸에 붙이는 센서를 가리킨다. 파스나 반창고처럼 피부에 붙이면 맥박, 체온, 수소이온농도, 근전위도 등을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다. 올해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이 꼽은 10대 미래유망기술 중 하나다.

특이할 사항은 이번에 개발한 바이오스탬프는 워낙 두께가 얇고 부드러워 따로 풀이나 점착성 겔 등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피부에 붙는다. 이 때문에 접착제에 의한 피부손상이 없고 피부의 탄력이나 땀에 의해 찢어지거나 벗겨질 일도 없다고 연구팀은 설명한다.

전자나노반창고를 사용한 표면근전위도 계측 예시.[사진출처=와세다대 공식페이지]

더욱 주목되는 점은 대량 생산이 용이하다는 것이다. ‘롤투롤(roll to roll)’이란 연속 인쇄 기술을 응용해 좁게는 ㎠ 단위에서 넓게는 ㎡ 단위까지 면적을 조절할 수 있다고 한다.

이번 기술은 스포츠선수의 운동 측정에서 유아, 노인, 장애인의 건강 관리 부문에 직접 활용될 전망이다. 이 밖에도 의족이나 의수, 장착형 로봇에 적용하는 것도 기대되고 있다.

더 자세한 내용은 26,27일 현지에서 발표될 예정이다.

yjc@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