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 총선 접전지 7% 장애인이 결정한다…10명중 8명 투표의향
[헤럴드경제=함영훈 선임기자] 전국 장애인인 유권자는 지난해 말 기준으로 전체(4000만명)의 6%에 해당하는 240만 3938명이다. 얼핏 대세를 좌우할 변수가 아닌 것 처럼 보인다.

실제 투표층을 비교해보면, 장애인들의 정치적 위력은 더 커진다.

한국장애인단체총연맹(한국장총)은 지난해 실시된 지방선거에서 장애인의 73.6%가 투표에 참여한 것으로 조사됐으며, 이는 전국 투표율 56.8%와 비교할 때 장애인계층의 높은 정치적 관심과 참여를 반영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장애인 투표 장면 [사진제공=한국장총]

이 투표율을 대입하면 장애인의 비중은 7.8%로 높아진다.

서울, 경기, 대전, 충청, 강원 등 수도권과 중부지방 절반 이상의 지역구와 영남, 호남 일부 접전지에서 1,2위 간 득표율차가 7%이내 였음을 감안하면 응집력 강한 장애인 유권자들의 투표 위력은 매우 강력하다는 분석이다.

한국장총은 최근 전국 17개 시ㆍ도의 장애인유권자 602명을 대상으로 정치성향 및 의식조사를 실시한 결과, “내년 4.13 총선에서 투표에 참여하겠다”고 응답한 장애인 유권자가 78.5%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16일 밝혔다.

일반적으로 총선, 대선보다 약간 낮은 지방선거 투표율(장애인 73.6%)에 비춰보면, 이같은 장애인들의 설문 의사표시는 실행력이 높은 것으로 해석된다.

장애인들의 정치성향을 보면, 정치권이 더욱 긴장하지 않을 수 없다.

일정한 정파에 쏠리지 않고, 이념 성향을 갖고 있다 하더라도 반대 이념의 정당을 지지하는 경우도 많으며, 입후보자의 정책공약을 매우 중시한다는 점에서 비장애인들의 투표성향과 차이를 보인다.

정치성향과 관련한 질문에 ▷‘모르겠다’ 29.9%, ▷‘진보’ 24.4%, ▷‘중도’ 24.0%, ▷‘보수’ 21.7%로 답했다. 얼핏 개혁적 정파가 유리할 것 같다.

그러나 지지정당에 대한 응답은 차이를 보이는데, ▷‘지지정당이 없다’는 응답(36.3%)이 가장 많았고 ▷새누리당 32.7%, ▷새정치민주연합 22.2%, ▷정의당 2.0% 등으로 조사됐다.

후보자 선택시 가장 우선시하는 것이 무엇이냐는 설문에 ▷‘정책, 공약’이라는 응답(40.6%)이 압도적으로 많았고, ▷인물ㆍ능력(21.6%) ▷준법 및 도덕성(12.3%)등이 뒤를 이었다. 정당이나 이념에 좌우되는 투표성향이 아닌 것이다.

이같은 조사결과를 종합하면 장애인 유권자들은 정치바람에 휘둘리거나 정당에 대한 호ㆍ불호에 매몰되지 않고 철저하게 정책과 인물로 평가하는 선진적 투표성향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2014 지방선거 당시 장애인 공약 간담회 [사진제공=한국장총]

지난해 지방선거에 투표하지 않은 장애인 유권자 158명을 상대로 심층 조사한 결과, 투표하지 않은 이유로 ‘지지하는 후보가 없거나 정치에 대한 무관심’이라는 응답(42.9%)이 가장 많았다. 이어 ‘투표소 접근과 이동지원수단이 제대로 제공되지 않아서 못갔다’는 응답도 29.5%나 됐다.

‘장애인이 직접 정치에 참여해야 한다’는 응답은 전체의 81.7%에 달해 비장애인 정치인 중심의 장애인 정책에 한계를 느끼면서 장애인의 정계 진출에 대한 열망이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한국장총은 오는 19~20일 “복지가 정치다!”라는 주제로 제17회 전국장애인지도자대회를 열어, 박근혜 대통령 장애인 공약 이행 분석, 내년 총선 공약 대책, 장애인 정치 진출 확대 방안 등을 논의할 예정이다.

abc@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