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청년실업률이 최저라고요?” 정부통계에 발끈하는 취준생들
[헤럴드경제=서경원 기자]“우리나라는 실업률을 집계하는 방식이 터무니가 없어요.”

“일자리의 질을 봐야 되는데 일을 하고 있다면 무조건 통계에 집어넣으니까 문제죠.”

정부는 지난달 청년층 실업률이 2년 5개월만에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고 발표했지만, 취업 현장에서 고용 한파를 온몸으로 맞으며 고군분투하고 있는 20~30대 구직자들 사이에선 체감 현실과 괴리가 크다는 볼멘소리가 나오고 있다.

[사진=헤럴드DB]


당장 몇년째 취업준비생의 딱지를 떼지 못하고 있는 청년들에겐 정부의 이런 통계 발표가 되레 더 사기를 떨어뜨리는 요인이 되고 있다는 반응도 제기된다.

통계청의 ‘고용동향’을 보면 10월 취업자 수는 2629만8000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34만8000명 증가했다.

[사진=헤럴드DB]

이는 37만9000명 늘었던 지난 5월 이후 5개월 만에 최고 수치다.

특히 청년층(15∼29세) 고용률은 41.7%로 작년 같은 달보다 1.1%포인트 올라간 것으로 조사됐다.

청년 실업률도 7.4%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0.6%포인트 하락했다.

전월보다는 0.5%포인트 떨어져 2013년 5월(7.4%)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청년층 취업자 수는 395만1000명으로 작년 동기보다 10만1000명 늘었고 고용률은 41.7%로 1.1%포인트 상승했다.

하지만 문제는 취업도 실업도 아닌 비경제활동인구가 1601만2000명으로 1년 전보다 17만6000명(1.1%) 증가했다는 것이다.

이에 청년 백수들의 비경제활동 인구 편입으로 실업률이 떨어지는 착시 효과가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실제로 학원수강 등을 통해 취업준비를 하는 사람은 63만7000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8만2000명(14.7%) 늘었다.

또 청년층 취업자 중 다수가 아트바이트나 비정규직 등 저임금의 불안정한 일자리에 취업한 경우가 많다는 분석도 제기된다.

아르바이트를 하면서 다른 직장을 구하는 취업준비자와 입사시험 준비생 등 사실상 실업자를 고려한 체감실업률은 10.5%를 나타내고 있기 때문이다.

청년층 비정규직도 올해 3월 기준 117만1000명으로 1년 전보다 3만4000명 늘었는데, 1주일에 36시간 미만으로 일하는 시간제 근로자의 증가가 큰 역할을 했다.

청년 비정규직 가운데 시간제 근로자는 53만6000명으로 7만2000명(15.5%) 늘었다.

특히 고용 증가를 주도하는 20∼24세에서 시간제 근로자 증가세가 가팔랐다.

2007년(3월 조사 기준) 20∼24세 취업자의 10.1%였던 시간제 근로자 비중은 2008년 15.7%로 급격히 뛴 이후 2012년 18.4%, 2014년 20.6%, 올해 22.9%로 늘었다.

2년째 대기업 입사를 목표로 취업을 준비하고 있는 김모(31) 씨는 “주변 친구들을 봐도 전부 취업이 어렵다고 하고, 체감적으론 취업이 더 힘들어진다는 느낌이 든다”며 “이런데도 취업률이 좋아졌단 소식은 쉽게 수용하기 어렵다”고 꼬집었다.

gil@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