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수능 출제위원장 “작년 수능 수준으로…만점자 비율 고려 안했다”
[헤럴드경제(세종)=배두헌 기자] 201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은 ‘쉬운 수능’이었던 전년도 수능의 출제 기조를 유지하면서 지난 6월과 9월에 치러진 모의평가 수준으로 출제했다고 수능 출제본부가 밝혔다.

이준식 수능출제위원장(성균관대 중어중문학과 교수)은 12일 오전 세종시 교육부 청사에서 브리핑을 열고 “학교 수업을 충실히 받은 수험생이면 충분히 해결할 수 있는 핵심적이고 기본적인 내용을 중심으로 출제했다”고 말했다.

수능 출제 경향 브리핑하는 이준식 수능출제위원장.

이 위원장은 “학생들이 과도한 수험 준비 부담에서 벗어나 꿈과 끼를 키워나갈 수 있도록 하는 교육 당국의 정책 기조와 교육과정에 따라 전년 수능과 같은 수준을 유지하려 했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수능은 역대 최고의 ‘물수능’으로 평가된 바 있어 올해 역시 쉬운 수능이 이어질 전망이다.

영역별 만점자 비율에 대해서는 “출제 과정에서 만점자 비율을 고려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이 위원장은 “1등급컷이나 만점자 비율 등 최상위권에만 초점을 맞춰 평가하는 것은 교육적으로 적절하지 않다고 생각한다”며 만점자 비율로 전체 시험의 난이도를 파악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다는 뜻을 밝혔다.

지난해 수능에서는 수학B영역 만점자가 4.3%에 달해 수험생들은 한 문제만 틀려도 2등급을 받는 등 높은 만점자 비율이 논란이 된 바 있다.

영어 영역은 대의파악과 세부정보를 묻는 EBS 연계 문항에서 교재의 지문을 그대로 활용하지 않고, 유사하지만 단어와 문장 등이 쉬운 다른 지문을 활용해 연계했다고 설명했다.

또 전년도 수능 결과에 따라 난이도를 조정하는 것에 대해서는 “출제의 안정성과 일관성을 유지하는 것이 수험생들이 예측가능하고 합리적으로 준비할 수 있는 토대라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문항 오류 방지에 대해 민찬홍 검토위원장(한양대 정책학과 교수)은 “검토위원의 수와 검토 일정을 늘여 충분히 준비할 수 있도록 했다”며 “올해 처음으로 문항점검위원회라는 단계를 신설해 논란이 되는 문항들에 대해 집중 논의하고 관리했다”고 설명했다.

배두헌 기자/badhoney@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