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韓창조경제-中창업창신, ‘대박벤처’ 만들기 손잡았다
[헤럴드경제=오연주 기자] 한국 창조경제와 중국의 대표적 경제활성화 정책인 대중창업(大衆創業· 수많은 사람의 무리가 창업 한다는 의미)전략에 따라 양국 벤처기업들이 한 자리에서 만나 투자유치 경쟁을 벌였다.

대전창조경제혁신센터(이하 대전센터)와 SK텔레콤, 중국의 국영 통신업체인 차이나유니콤은 10일 상하이 차이나유니콤 인큐베이션 센터에서 양국 벤처기업 투자유치를 지원하는 투자설명회를 개최했다. 이번 설명회는 국내 창업 보육기관이 외국 기업과 공동 인큐베이팅하며 해외 투자 유치에 나선 첫 사례다.

설명회에는 중국의 스마트폰업체 샤오미(小米), 인터넷기업 텅쉰(騰訊·텐센트)의 투자 담당자와 IDG, 세콰이아(Sequoia), 상하이 벤처캐피탈 등 전업투자기관 책임자 200여 명이 참여했다.


이날 투자설명회에서는 참석한 벤처기업들이 상호 협력을 추진하는 계약을 체결하는 등 한ㆍ중 공동 인큐베이팅 효과가 실질적으로 나타났다.

SK텔레콤의 브라보리스타트 프로그램으로 인큐베이팅을 받고 있는 비주얼캠프(아이 트레킹 기술 보유. 눈으로 타이핑을 칠 수 있는 기술임)는 차이나유니콤이 육성중인 Armertec.가상현실 콘텐츠 개발회사)과 상호비밀유지협약서(NDA)를 체결했다. 또 이지벨(일반 스마트폰 카메라로 촬영한 얼굴을 자동으로 3차원 변환 시키는 기술 보유)은 투자설명회에 앞서 중국 투자를 만나 사전 설명회를 가졌다.

차이췐건 차이나유니콤 상하이 총경리는 “한국과 중국 정부간 창업교류가 본격화되고 있는 가운데 첫 단추를 꿰었다”면서 “실천 방안을 구체적으로 만들어 내는 공동 창업 플랫폼으로 키워나가겠다”고 말했다. 


이날 투자설명회에 앞서 대전센터와 SK텔레콤, 차이나유니콤은 ‘한ㆍ중 혁신 인큐베이션 센터’ 현판식을 가졌다. 이들은 각자의 창업 시스템을 교차 지원하면서 성공 벤처 사례를 만들어 내기로 결의하고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3자간 협력 모델은 한국과 중국 정부간 청년 창업문화 교류 논의가 활발히 진행중인 가운데 성사됐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특히 이달 초 방한한 리커창 총리가 경기창조경제혁신센터를 찾아 “한국의 ‘창조경제’와 중국의 ‘창업ㆍ창신’ 전략을 서로 연계해 실질적 협력을 이루고 싶다”고 밝힌 뒤 1주일만에 이뤄진 행사라는 점에서 관심을 끌었다.

임종태 대전센터장은 “중국 기업과 정부도 한계 극복 및 성장을 위해 민관이 협력해 유망 벤처를 키워 경제를 활성화 시키는 창조경제를 벤치마킹하고 있다”면서 “양 국가와 기업의 성공 사례를 접목시켜 한ㆍ중이 합작한 ‘대박 벤처’를 만들어 내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oh@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