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15개월 족쇄 풀린 갤럭시S5 광대역 LTE-A, 50만원 보조금 업고 부활?
[헤럴드경제=최정호 기자] 출시 15개월이 넘은 삼성전자 갤럭시S5 광대역 LTE-A 모델에 대한 보조금 경쟁이 시작됐다. 최고 50만원대 보조금을 지급하며 하반기 ‘공짜’ 마케팅의 핵심으로 떠오를 전망이다.

28일 KT는 갤럭시S5 광대역 LTE-A 보조금을 최고 54만6000으로 전격 인상했다. 출고가 69만9600원을 감안하면, 10만원 대 가격으로 구매 가능해진 것이다. 고가 요금제 뿐 아니라, 낮은 요금제 범위에서도 보조금을 상향했다. LTE 데이터 선택 499 요금제에도 45만원을 기본으로 지원한다. 


업계에서는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 등도 조만간 뒤따를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경쟁작인 LG전자 G3 cat.6의 보조금 제한이 풀리는 시점에서 이통 3사의 경쟁은 더욱 치열해질 전망이다. 지난해 두 제품은 비슷한 시기 출시되면서, 국내에서는 ‘대란’까지 불러오며 하루에만 10만대씩 팔리는 기염을 토한 바 있다.

갤럭시S5 광대역 LTE-A는 지난해 삼성전자의 주력 모델로, 인터넷 상에서는 ‘디자인만 빼고 모든 것을 다 가진 스마트폰’으로 회자되고 있다. 5.1인치 QHD 화면, 퀄컴 스냅드래곤805, 3GB 램, 1600만 화소 후면 카메라, 2800mAh 배터리, 방수, 방진 기능 등 당시 스마트폰의 최고 사양을 가졌기 때문이다. 사양만으로는 올해 나온 중저가 모델, 또는 중국산 저가 제품 이상이다. 지금 사용해도 전혀 무리가 없는 제품이다.


실제 보조금에 대한 제한이 없는 미국과 유럽 등에서는 올해 상반기 갤럭시S5 모델이 뒤늦게 베스트셀러에 다시 오르기도 했다. 디자인까지 갖춘 갤럭시S6를 구매하는 대신, 저렴한 지난해 플래그십 모델로 발길을 돌린 소비자들이 만든 결과다.

이 같은 핵심 모델의 보조금 상향은 시장에서도 좋은 반응을 얻은 바 있다. 지난해 갤럭시 노트2, 올해 노트3가 출시 15개월 직후 소위 ‘공짜폰’으로 풀리며 재고가 모두 소진됐던 것이 좋은 예다. 최근에는 LG전자 G프로2가 출시 15개월이 지나자마자 보조금 공세 속에, 대리점에서 이제는 재고를 찾을 수 없는 스마트폰이 되기도 했다.

업계 한 관계자는 “지난해 나온 플래그십 모델들의 경우, 사양 면에서는 지금도 고급인 제품들”이라면서 “스마트폰의 성능이 상향 평준화 된 점을 감안하면 합리적인 가격을 우선시하는 소비자들에게는 선택의 폭이 넓어진 셈”이라고 설명했다.

choijh@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