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이번주 잇단 거리 노동집회…목요일엔 대중교통 이용하세요!
[헤럴드경제=김양규 기자] 한국은행이 오는 15일 금융통화위원회를 열고 이달 기준금리와 함께 수정경제전망치를 발표한다. 기준금리는 동결될 가능성이 높게 점쳐지고 있는 가운데 올해 및 내년 경제전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기준금리는 미국의 인상 시기가 내년으로 늦춰질 것이란 전망이 힘을 얻으면서 부진한 내수 회복을 위해 추가 인하 가능성이 꾸준히 제기돼 왔으나, 이달 역시 동결될 것이란게 전문가들의 중론이다.

사진=헤럴드DB

지난 5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의 국정감사에서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도 ‘미국의 금리 인상 지연에 따른 한은의 추가 금리 인하 가능성’에 대해 “그런 주장에 대해서는 생각이 다르다‘고 일축한 바 있어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이 매우 낮아진 상태다.

이 총재는 이날 국감에서 ”소비를 중심으로 내수가 회복세를 보이고 있고, 앞으로도 예상했던대로 회복 경로를 유지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앞서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등은 미국의 연내 금리 인상을 언급해왔으나, 지난 9월 공개시장위원회(FOMC)는 기준금리를 동결했다. 이에 따라 국내 경제전문가들 사이에서는 미국의 금리 인상에 앞서 올해 안에 한은이 추가 금리 인하를 통해 부진한 내수를 회복시킬 수 있는 시간적 여유를 벌어야 한다는 주장이 적지않다.

그러나 이 총재의 기준금리 인하에 대한 부정적인 입장이 나오면서 채권시장에서는 금리 인하 기대감에 하락했던 채권금리는 다시 상승세로 돌아섰다. 지난 8일 기준 3년 만기 국고채 금리는 연 1.615%로 전날대비 0.001%포인트, 20년물과 30년물도 0.002%포인트 올랐다.

이 처럼 이달 한은의 기준금리는 동결될 가능성이 점쳐지고 있는 가운데 경제성장률 수정 전망과 내년 성장률 전망에 대한 하향여부가 초미의 관심사로 부각되고 있다.

한은이 지난 7월 발표한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은 2.8%다. 그러나 시장 전문가들은 기존 제시돼 온 2.8%를 유지하거나 0.1~0.3% 포인트 가량 하향 조정 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시장에서는 무엇보다도 내년 경제성장률 전망치에 촉각을 곧두세우고 있다. 지난 7월 한은은 내년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3.3%로 예상했다. 그러나 이미 LG경제연구원 등 일부 경제연구소 등 시장에서는 내년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2% 초반대로 전망했다.

지난 11일 현대경제연구원도 ‘‘2016년 한국 경제 전망’ 이란 보고서를 통해 내년 경제성장률 예상을 연간 2.8%로 내다봤다.

현대경제연구원은 “임금 상승률 둔화와 가계부채의 누적 증가 등 제약 요인이 있으나, 민간소비는 2% 초반의 증가율을 보일 것”이라며 “수출은 세계 경기가 완만하게 회복하며 1100억달러 안팎의 경상수지 흑자를 기록할 것”이라고 밝혔다.

반면 일각에서는 지지부진한 경기회복세를 감안할 때 2%대로 낮춰질 것이란 예상과 달리 최근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타격에서 벗어나면서 소비가 회복세로 돌아서고 있어 내년 3%대 성장은 무리가 아니란 시각도 나온다.

kyk74@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