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 [이사람] 국회기록보존소 김장환 기록연구관
“국회 회의록은 조선왕조실록과 같죠”

기록관리=민주주의 투명성 보장 매료
정치인 견제장치 되는 게 기록관리


“제헌국회 때부터 속기형식으로 기록을 가진 나라는 많지 않아요. 국회에서 나온 회의록들은 후대에 조선왕조실록 같은 기록물이 되는 거죠”

국회 의정관 지하 2층, 국회기록보존소 서고에서 만난 김장환<38·사진> 기록연구관은 하얀 장갑을 낀 손으로 조심스럽게 기록물을 꺼내 들었다. 제헌국회 때부터 수집된 회의록과 법률ㆍ예산ㆍ결산안 등 의안문서, 행정문서 등 ‘영구보존’ 기록물을 다루는 그의 손길은 그 어느 때보다 신중해 보였다. 

사진=박해묵 기자/mook@heraldcorp.com

김 연구관이 국회기록보존소에 발을 들인 것은 지난 2010년. 대학에서 정치학을 전공한 그는 기록 관리와 정보공개를 통해 민주주의의 투명성이 보장될 수 있다는 점에 매료됐다. 이후 ‘기록물관리 전문요원’이 되려고 석박사까지 마쳤다. 그는 역사를 남기는 측면에서 역사학자와 밀접하고, 관리적인 측면에서는 사서와 비슷해 자신의 역할을 ‘역사학자와 사서의 한가운데’라고 설명했다.

그는 최근 법률상 필수 이관돼야 하는 기록물 이외에도 ‘수집’을 통해 국회기록보존소를 빼곡히 채우는 데 주력하고 있다. 국회 곳곳의 기억을 더 밀도 있게 저장한다는 계획이다.

“사실 국회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각각의 헌법기관인 국회의원입니다. 개개인의 활동마다 상당히 중요한 기록들이 생산되는 거죠. 하지만, 의무적인 기록이관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수집이 필수적입니다”

김 연구관은 수집할 때 상대를 설득하는 ‘최고의 무기’는 기록물 보존의 사명과 의무를 설명하는 것이라고 소개했다. 그는 “국가기관이기 때문에 기증자에게 제시할 수 있는 것이 많지 않습니다. 하지만 기록을 보존하고 후세에 전달해주겠다는 기관의 사명과 의무를 말씀드리는 거죠”라고 말했다.

가장 최근의 성공사례는 이만섭 전 국회의장이다. 처음에는 기증에 부정적인 입장을 보였던 이 전 국회의장은 끈질긴 설득 끝에 ‘통 큰’ 기증을 했다. 이 기증품에는 앨범 100권 이상의 의정 활동 사진 기록, 60년대 남북가족면회소 설치에 대한 결의안, 박정희 대통령이 써준 추천장 등이 포함돼 있다.

김 연구관은 과거의 기록을 수집하는 것 이외에도 현재 기록의 힘이 정치권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에 대해서도 주목했다.

그는 “기록관리에는 설명 책임성이라는 개념이 있습니다. 어떤 행위를 했는지 국민에게 설명할 책임이 있다는 거죠. 국회의원들이 의정 활동을 하면서 한 발언들은 영원히 보존된다고 생각하면 자신들이 한 말에 대해서 좀 더 책임을 갖고 말할 수 있지 않을까요?”라고 되물었다.

그는 이어 “조선시대, 왕이 사관 앞에서는 언행을 조심했다“며 ”정치인들에게는 자신의 언행을 조심하는 견제장치가 되는 게 기록관리”라고 강조했다.
양영경 기자/ana@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