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일자리 창출 지원도 ‘맞춤형’…신보, 기업특성에 맞춰 보증지원 차별화
[헤럴드경제=김양규 기자] 신용보증기금이 일자리 창출을 위한 다양한 방안을 모색하고 나섰다. 특히 공급자 중심의 일괄적 지원이란 과거의 패러다임에서 벗어나 기업의 성장단계별 고용 특성을 반영한 수요자 중심의 맞춤형 지원 정책에 역량을 쏟고 있다. 전략적 접근을 통해 일자리 창출을 극대화하고 있는 셈이다.

우선 고용의 양적 성장이 시작된 창업기업의 경우 ‘고용창출 특례보증’이 큰 역할을 하고 있다. 이는 고용에 따른 인건비를 지원하는 보증인데, 신규 고용인원 1명당 3000만원씩 최고 3억원까지 지원한다. 전문자격 보유자 등은 1명당 5000만원까지 최고 5억원을 지원한다. 보증료도 0.7%의 고정이라 부담도 최소화했다.

성장단계 기업에는 ‘가젤형 기업 우대보증’과 ‘고용창출 우수기업 우대보증‘이 최적화돼 있다. 가젤형 기업이란 고용 또는 매출이 3년 연속 20% 이상 지속적으로 고(高)성장하는 기업을 뜻한다. 매출액의 2분의 1까지 한도로 지원하며, 추가로 보증료도 0.4% 포인트 차감된다. 고용창출 우수기업 우대보증은 전년 보다 고용이 10% 이상 늘어난 기업에 대해 보증료를 최대 0.3%p 낮춰 준다.

사업이 성숙기에 접어든 기업은 ‘좋은 일자리 기업 우대보증’이 적합하다. 기존에 고용의 양적 창출에 집중됐다면 이는 직원들의 임금, 복지수준, 고용안정 등 고용의 질적수준을 평가하는 등 양질의 일자리를 유지, 창출하는 기업에 대한 지원 제도다.

올해 상반기 가젤형 기업 및 좋은 일자리 기업을 전수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신보의 보증지원을 받은 가젤형 기업은 전년 대비 매출액이 평균 9.8%, 좋은 일자리 기업은 평균 12.3% 늘었다. 이는 중소기업 평균 매출액 증가율 3.9%를 크게 넘어선 것이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신보는 하반기에도 고용창출기업에 대한 맞춤형 지원을 강화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서근우 신보 이사장은 “중소기업이 이른바 한국경제의 ‘고용절벽’을 극복하는 선도자가 될 수 있도록 신보가 든든한 디딤돌 역할을 할 것이며, 앞으로도 고용창출기업에 대한 지원을 확대하여 고용시장에 활력을 불어 넣을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신보는 올해 상반기(1~6월) 중 고용창출기업 1423곳에 총 7245억원의 보증을 지원했다. 이는 상반기 전체 기업에 대한 지원금액의 12%다. 고용창출기업에 대한 기업당 평균 지원금액은 5억 1000만원으로, 일반기업 평균 지원금액(3억 2000만원)의 2배에 가깝다.

kyk74@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