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공기업 지방이전 명암]가족 동반은 셋중 하나... 나머지는 '혁신 기러기'
[헤럴드경제=배문숙기자]지난해 세종시로 이전한 주요 국책연구기관의 중견 직원 K씨는 몇 달 전 서울로 직장을 옮겼다. 서울 중심의 생활패턴을 세종시로 옮기는 게 힘들었던 것이 이직 이유로 알려졌다.

K씨 뿐만 아니다. 국무총리실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소속 23개 국책연구기관의 정규직 연구원 113명이 지난해 퇴사했다. 이들의 이탈 러시는 소속 기관의 세종시 이전과 결코 무관치 않다.


서울과 거리가 먼 곳에 이주한 기관들의 사정은 더 열악하다. 전북혁신도시로 이전한 한 공공기관 관계자는 “세종시 정도면 양호한게 아니냐”며 반문한다. 부산을 비롯한 대구, 광주ㆍ전남, 전북, 충북 등 전국 10개 혁신도시로 이전한 77개 공공기관 직원들의 입장에선 공무원 도시인 세종시가 부러울 뿐이라는 얘기다.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에 있던 공공기관들의 지방 이전은 노무현정부의 국토균형발전 정책의 일환에서 비롯됐다. 전국 전역에터를 잡은 혁신도시로의 공공기관 이전률은 현재 75% 정도에 이르고 있다. 이런 가운데 해당 공공기관들은 직원들의 이탈 현상에다 직원들의 새로운 환경 스트레스, 핵심 직원들의 잦은 서울 출장 등으로 효율성 저하라는 난제와 직면해 있다.

실제로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김태원(새누리당) 의원이 국토교통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현재 지방 이전 공공기관 임직원들의 경우 32.7%만 가족 동반 이주인 것으로 나타났다. 3분의 2가 ‘혁신 기러기’인 셈이다. 이로인해 각 기관마다 직원 대상 정신안정센터나 체육시설 등 편의시설 구축에 심혈을 기울이는 상황이다.

자료에 따르면 지난 4월말 기준으로 77개 공공기관 소속 2만3438명이 혁신도시로 이전했다. 가장 많은 공공기관이 이전한 지역은 광주ㆍ전남혁신도시로 한국농어촌공사, 한국전력공사,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등 모두 13개 기관에 2604명이 해당된다. 다음은 부산으로 한국자산관리공사, 한국해양수산개발원 등 총 12개 기관, 2533명이 이전했다. 이전 인원이 가장 많은 지역은 대구혁신도시로 한국가스공사, 한국감정원, 신용보증기금 등 8곳에 불과하지만 인원은 5764명이다.

이전 공공기관들이 공통으로 겪는 심각한 문제는 인재유출 현상이다. B기관의 경우 신입사원 최종 면접자 12명 중 8명이 입사불응이었다는 소문까지 나돈다. 이런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공공기관들은 현지 대학과 연계해 기술인력 양성 과정을 신설하는 등 각고의 노력을 쏟고 있다.

그렇다고 그림자만 있는 것은 아니다. 공공기관 지방이전으로 지역경제가 눈에 띄게 활성화하는 것은 빛이라는 평가다. 공공기관들이 헌시적으로 사회공헌사업에 나서면서 지방주민들의 삶의 질도 개선되고 있다는 게 대체적인 시각이다. 

oskymoo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