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30대그룹 매출,영업익, 순익 감소 불구 인건비만 올랐다
[헤럴드경제=윤재섭 기자]국내 30대 그룹은 매출과 영업이익, 순이익이 동반 감소하는 가운데서도 유독 인건비만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노동개혁 및 고용구조 문제가 사회적 논란거리로 부상 중인 가운데 나온 결과여서 이목이 쏠린다.

16일 기업 경영성과 평가사이트 CEO스코어가 30대 그룹 중 반기보고서를 제출하지 않은 부영을 제외한 29개 그룹 271개 계열사의 상반기 매출 및 급여 총액을 분석한 바에 따르면 30대그룹의 매출은 571조890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7.9%(48조8500억원) 감소했지만 급여 총액은 33조4700억원으로 4.7%(1조5120억원) 증가했다.


이에 따라 매출액에서 급여가 차지하는 인건비 비중은 지난 해 상반기 5.2%에서 올해 상반기는 5.9%로 0.7%포인트나 상승했다.

30대 그룹은 올 상반기 매출뿐 아니라 영업이익과 순이익도 동시에 줄어드는 극심한 불황을 겪었다.

영업이익은 31조830억원으로 0.8%(2520억원) 줄었고 순이익도 6.4%(1조8440억원)나 감소했다.

매출이 늘어난 그룹은 현대자동차, 한화, 효성, 신세계, 현대백화점, 대우건설,미래에셋 등 7곳에 불과했다.

그룹별로는 KT의 인건비 비중이 11.5%로 가장 높았다. 상반기 KT의 그룹 매출은10조1230억원으로 4.7%(5040억원) 줄었지만 급여 총액은 1조1670억원으로 9.8%(1050억원)나 증가했다.

두산은 인건비 비중이 11.1%로 2위다. KT와 달리 급여가 7530억원으로 3.7%(290억원) 줄었지만 매출이 6조8160억원으로 7.2%(5320억원)나 줄어 인건비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아진 것이다.

이어 LG(8.3%), 대우조선해양(8.2%), KCC(8.0%)의 인건비 비중이 8%를 넘었고 신세계(7.9%), 한진ㆍ금호아시아나(각 7.3%), OCI(7.1%), 효성(6.9%), 현대자동차(6.7%), 현대백화점ㆍ삼성(각 6.5%) 등이 30대 그룹 평균치인 5.9%를 웃돌았다.

반면 S-OIL은 인건비 비중이 1.4%로 가장 낮았고, GS(2.5%), 영풍(2.7%)도 2%대에 그쳤다. 미래에셋(3.3%), 동부(3.4%), 동국제강(3.6%), 대림(3.9%)은 3%대였다. SK(4.2%), 포스코(4.3%), 현대ㆍ한화ㆍLS(각 4.5%), 롯데ㆍ대우건설(각 4.7%)은 4%대, 현대중공업(5.1%), CJ(5.5%)는 5%대였다.

올 상반기 인건비 비중 증가폭 역시 KT가 1.5% 포인트 상승해 가장 높았다. 이어 대우조선해양(1.4%포인트), LGㆍLS(각 1.30%포인트), SK(1.20%포인트), 금호아시아나(1.00%포인트)가 1%포인트 이상 상승했다. 현대중공업ㆍ롯데(각 0.7%포인트)도 30대 그룹 평균(0.7%포인트)과 같거나 상회했다.

이외 포스코ㆍ동국제강(0.60%포인트), 삼성ㆍGS(각 0.50%포인트), 두산ㆍKCCㆍ대림ㆍ미래에셋ㆍS-OIL(각 0.40%포인트), 한진ㆍ현대자동차(각 0.30%포인트), OCIㆍ대우건설ㆍ영풍(각 0.20%포인트), 신세계ㆍ효성(각 0.10%포인트), 현대백화점(0.01%포인트)의 인건비 비중도 일제히 상승했다.

반대로 인건비 비중이 줄어든 곳은 CJ(-0.70%포인트), 현대(-0.30%포인트), 동부(-0.20%포인트), 한화(-0.04%포인트) 등 4곳에 불과했다.

이 가운데 CJ, 현대, 동부그룹은 올 상반기 매출도 동반 감소했다. 한화그룹은 매출 증가율이 25%에 달하는 것으로 나왔지만 이는 한화토탈(옛삼성토탈), 한화화인케미칼(옛 KPX화인케미칼) 등의 인수합병에 따른 것으로 실제 매출은 증가하지 않았다.

i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