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임금피크제 미도입 공공기관...임금인상률 절반으로 깎는다
공공기관 임금피크제에 대한 정부의 압박이 구체화하고 있다. 올해 안에 임금피크제를 도입하지 않는 공공기관에 대해서는 내년 임금인상률 절반으로 깎는다는 방침이다.

정부 관계자는 오는 16일 열리는 공공기관운영위원회(공운위)에서 임금피크제 도입 시기에 맞춰 이 같은 방향으로 내년 임금 인상률에 차등을 두는 방안을 확정할예정이라고 10일 밝혔다.

기획재정부는 최근 올해 안에 임금피제를 도입하지 않는 공공기관에 대해 내년도 임금 인상률을 50% 삭감하고, 기타공공기관의 경우 도입시기별로 임금 인상률을 차등 적용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밝힌 바 있다. 이럴 경우 임금피크제를 도입하지 않으면 성과급은 물론 임금인상률에서 이중 불이익이 불가피해진다.

앞서 정부는 지난 1일 공운위에서 임금피크제 도입 기관에 경영평가 때 최대 3점의 가점을 주기로 했다. 임금피크제 도입과 정착 노력에 1점, 제도 적합성에 1점을 주고 도입시기별로 7월 1점, 8월 0.8점, 9월 0.6점, 10월은 0.4점으로 차등화하는 방식이다. 경영평가 점수를 3점 덜 받으면 S부터 A·B·C·D·E까지 여섯 단계로 나뉘는 등급이 최대 두 계단 떨어질 수 있다. D등급 이하면 임직원 성과급이 한 푼도 안 나온다.

정부는 내주의 공운위에서 임금피크제 도입시기에 따라 기타 공공기관의 임금인상률에 차등을 두는 방안도 확정하기로 했다. 강원랜드, 산업은행, 수출입은행과 국립대병원, 국책 연구기관들이 포함된 기타 공공기관은 경영평가를 받지 않아 임금피크제 도입을 유인할 방안이 마땅치 않기 때문이다.

지난 9일까지 공기업(30곳)과 준정부기관(86곳)의 임금피크제 도입률은 각각 70%, 49%까지 올랐다. 그러나 기타 공공기관(200곳)은 18.5%로 집계됐다. 임금피크제를 도입한 공공기관은 모두 101곳으로, 전체 도입률이 32%다. 기타 공공기관들은 10월까지 임금피크제를 도입하면 임금인상률이 깎이지 않고 그 후로는 도입시기가 늦어질수록 인상률이 낮아질 가능성이 크다.

정부는 임금피크제 적용으로 줄어든 근로자 임금을 보전해 주는 지원금 예산을 올해 320억원에서 내년 521억원으로 늘렸다.

원승일 기자/wo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