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국외소재문화재재단, 광복 70주년 기념 학술대회 개최
[헤럴드경제=신수정 기자]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이사장 안휘준)은 광복 70주년과 한일국교정상화 50주년을 기념해 학술대회를 개최한다. 학술대회는 오는 12일 국립고궁박물관 강당에서 한국과 일본의 관련 분야 전문가들이 참여한 가운데 열린다.

이날 학술대회는 ‘한일 문화재 반환 문제의 과거와 미래를 말하다’라는 제목으로 진행된다. 한일 간 문화재 반환 등의 문제를 짚어보는 양국 전문가의 기조강연을 시작으로 총3부로 나누어 발표와 토론이 진행될 예정이다.

먼저 첫번째 기조강연자로 나서는 정영호 한국교원대학교 명예교수는 1965년 한일협정 과정에서 문화재 반환협상을 주도했던 황수영(당시 문화재위원) 선생의 업적을 조명할 예정이다.

두번째 기조강연자로는 2010년 ‘한일도서협정’ 체결 당시 일본국 내각관방장관을 역임했던 센고쿠 요시토가 초대됐다. 그는 도서협정을 통해 조선왕실의궤 등 1205책을 한국 측에 돌려준 경험을 이야기하고 미래 한일관계를 전망할 예정이다.

이어 제1부 ‘광복 70주년, 식민주의 청산과 문화재’에서는 일제강점기 문화재 정책에 대한 내용으로 진행된다. ▷‘고적(古蹟)’의 제도화:조선총독부 문화재 정책의 성립(오영찬 이화여대 사회과교육과 교수) ▷조선총독부 조선고적조사 사업과 후지타 료사쿠(김대환 국립중앙박물관 학예연구사) ▷서구사례를 통해 본 식민주의 청산과 문화재(조동준 서울대 정치외교학부 교수)에 대한 발표가 준비돼있다.

제2부 ‘한일국교정상화 50주년, 한일문화재협정의 교섭 과정과 의의’에서는 1965년 한일국교정상화 과정을 살펴본다. ▷한일회담 개최 전의 한일 문화재 반환문제와 미국-대일요구정책 성립을 중심으로(나가사와 유코 도쿄대 특임강사) ▷일본 측 문서로 본 1965년 한일회담 문화재 반환 교섭에 대한 소고-1960년 4월 일본 측 문서를 중심으로(김인덕 청암대 재일코리안연구소 부소장) ▷문화재 반환 교섭을 통해 본 한일국교 정상화 50년(류미나 국민대 일본학연구소 연구교수) 등을 주제로 발표가 진행된다.

제3부 ‘한일 간 문화재 반환 문제의 해법’에서는 한일국교정상화 이후 50년간 한일 간 문화재 반환문제를 돌아본다.

▷2010년 한일도서협정에 관한 고찰(요시자와 후미토시 니가타국제정보대 교수) ▷국제법 사례를 통해 본 한일 문화재 반환 문제의 해법(이근관 서울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에 대한 발표가 이어진다.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은 “문화재청의 후원으로 열리는 이번 학술대회에서 한국과 일본의 관련 분야 전문가들이 제시하는 한일 문화재 반환문제의 다양한 해법을 참고해, 한일 간 문화재 현안의 합리적 해결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여 나가겠다”고 밝혔다.

ssj@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