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한국 소나무의 광복선언···국립수목원, 국내 자생식물 4173종 영어이름 바로잡는다
[헤럴드 경제(대전)=이권형 기자]산림청 국립수목원(원장 이유미)은 광복 70년을 맞이해 우리 식물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그 가치를 세계에 알리기 위해 한반도 자생식물의 영어이름을 새롭게 정리한다고 밝혔다.

우리 민족과 함께 해 온 ‘소나무’의 영어이름은 ‘재패니즈 레드 파인(Japanese Red Pine)’으로 사용되고 있다. 즉, ‘줄기가 붉은 일본 소나무’로 세계인들에게 알려져 있다. 세계적으로 한반도가 소나무 분포의 중심이지만 일본의 소나무가 서양인들에게 먼저 알려졌기 때문이다.

이에 국립수목원은 식물주권 확보를 위해 ‘국가표준식물목록’ 중 자생식물 4173종에 대해 영문이름을 재검토했다.

그 대상은 ▷한반도가 식물분포의 중심지임에도 다른 국가명이 들어간 식물 ▷우리 문화ㆍ생활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식물 ▷한반도에만 살고 있는 특산식물 ▷세계적으로 넓게 분포함에도 불구하고 특정 국가명이 들어간 식물 등이다.

국립수목원은 이러한 식물들을 찾아 올바른 영어이름으로 고치거나 세계인이 부를 새로운 이름을 짓는 방식으로 검토하고 한글 발음을 명사화해 우리말 이름을 그대로 영어이름으로 제안했다.

식물 이름은 ‘학명’과 ‘일반명’ 두 종류가 있다. ‘학명’은 전 세계가 공식적으로 쓰는 이름으로 한 종의 식물에 하나의 이름만 붙는다. 국제 식물 명명 규약(International Code of Nomenclature for Algae, Fungi and Plants)의 선취권을 따르기 때문에 처음 붙여진 이름을 바꿀 수 없다.

학명은 전 세계 공통이기 때문에 언어가 다른 국가 간에도 혼동할 염려가 없어 식물학자들이 학술용어로 쓰기에 편리하나, 라틴어로 되어 있고 구성 체계가 어려워 일상생활에서 사용하기에 익숙하지 않다.

그러나 ‘일반명’은 각 나라에서 서로 다른 언어로 식물에 붙여 부르는 이름으로 한 종의 식물에 여러 개의 이름이 있을 수 있다. 학명과 달리 일반명은 선취권이 없어 사람들이 많이 부르고 써서 널리 알려지면 사람들의 인식 속에 고착화된다.

일반명은 그 식물이 분포하는 지역, 모양을 떠올릴 수 있는 단어, 그 식물이 가지고 있는 특징적인 색깔 등으로 다양하게 표현돼 쉽게 연상할 수 있고 외우기 쉽다.


국립수목원은 바로 잡은 영어이름은 ‘한반도 자생식물 영어이름 목록집’으로 발간해 주요공관 및 유관기관에 배포할 예정이며 전자책도 제작해 국립수목원 누리집(www.kna.go.kr)과 구글 플레이 도서에서 검색하면 무료로 볼 수 있다. 또한, 네이버 어학사전으로도 제공해 언제 어디서나 쉽게 검색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이유미 국립수목원장은 “식물 이름은 단순한 ‘이름’이 아니라, 민족의 문화와 역사 그리고 식물이 가진 가치를 포함하는 ‘상징’이므로 올바른 영어이름으로 부르고 알리는 것이 중요하다”며 “한반도를 대표하는 식물을 ‘코리아(Korea) 식물’로 부르도록 세계에 알리기 위해 계속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kwonhl@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