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목에 멍울 만져지고 몸살증상 있다면 급성림프절염 의심해야
- 여성이 남성보다 발병률 약 1.5배 높아

[헤럴드경제=이태형 기자] 직장인 김모(36ㆍ여)씨는 최근 몸살이 난 것처럼 온몸이 아프고 열이 났다. 최근 집안일로 잠도 못 자고 극심한 스트레스에 시달려서 그런가 보다 생각하고 회사에 휴가를 내고 며칠 쉬었다. 하지만 증상은 호전되지 않았고 목에 멍울이 생겨 병원을 찾았다. 일단 급성 림프절염으로 진단을 받았는데 병원에서는 혈액검사, CT촬영, 조직검사 등 추가검사를 진행했다. 그녀는 혹시 갑상선암이 아닐까 걱정스러웠지만, ‘기쿠치병’이라는 진단을 받았다.

림프절염은 ‘임파선이 커졌다’는 의미인데 다양한 질병의 증상 중 하나로 임파선이 커지기 때문에 검사를 통해 정확한 원인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 림프절이 붓는 가장 큰 원인은 기쿠치병이 생겼거나 결핵균이 림프절에서 염증을 일으켰기 때문이다.

▶급성림프절염 환자의 22%가 20~30대 여성=림프절염은 남녀노소 누구에게나 생길 수 있고 연간 60만명 이상 진단을 받고 있다. 특히 20~30대 가임기 동양 여성에서 더 흔한 경향이 있다.

국민건강보험심사평가원 통계에 따르면 2014년 급성림프절염으로 치료받은 환자는 남성이 26만5000여명, 여성이 40만2000여명으로 여성이 남성보다 약 1.5배가량 높은 발병률을 보였다.

또 다른 연령대 대비 20~39세의 가임기 여성은 2014년 66만8663명 중 14만5492명으로 전체 환자의 22%에 육박한다. 림프절염이 여성에게 더 자주 발병하는 원인은 아직 명확히 알려지지 않았다.



급성림프절염 환자 추이



▶30세 이하 젊은 동양인에게 많이 발생하는 기쿠치병=기쿠치병은 1972년 일본인 의사 기쿠치가 의학계에 최초로 보고해 붙은 병명이다. 흔히 조직구 괴사성 림프절염으로 불린다.

기쿠치병은 30세 이하 젊은 동양인에게 많이 생기는 병으로 알려져 있는데, 특히 남성과 비교하면 여성이 약 4배 정도 많다. 아직 발병원인이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헤르페스바이러스, 엡스타인바이러스 등 바이러스 감염 후에 발생한다.

증상은 발열ㆍ피로감ㆍ관절통이 주로 나타나며 발진ㆍ야간 발한ㆍ오심ㆍ구토ㆍ설사 등이 동반되기도 한다. 조직 검사를 통해 진단할 수 있으며 치료는 증세를 억제하거나 경감시키는 대증치료를 하게 된다. 보통 1개월 이내에 호전되지만 몇 달씩 지속하기도 한다.
[사진출처=123RF]

▶결핵균이 림프절에 침입해 생기는 결핵성림프절염=림프절염의 중요한 원인 중 하나는 결핵균이 림프절에 침입하면서 나타나는 결핵성림프절염이다.

통증이 없는 멍울이 천천히 커지면서 미열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다. 확진하려면 조직검사가 필수다. 폐결핵을 동반할 수 있어 이에 대한 검사도 필요하다. 결핵성림프절염으로 확진되면 항결핵제를 6개월 이상 복용해야 한다. 적절한 치료를 받지 않고 내버려두면 염증이 심해져 피부에서 고름이 나오기도 하고 다른 장기로 퍼져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한림대강남성심병원 감염내과 이재갑 교수는 “결핵균은 우리 몸 어디든 침범할 수 있어서 결핵성뇌수막염, 골수염, 심낭염 등으로 진행하면 매우 심각한 결과를 초래한다”며 “결핵균이 중요 장기들을 침범하기 전에 조기에 치료할 기회를 놓쳐선 안 된다”고 말했다.

▶림프절 비대 부위에 암 발생 가능성도=림프절 비대가 생겼을 때 반드시 감별해야 할 것은 악성 종양이다. 암세포가 림프계를 통해 전이되기 때문에 림프절 비대 부위와 암이 위치한 곳은 밀접한 관련이 있다.

목에 림프절염이 생기면 두경부 암, 쇄골 부분의 림프절이 부었으면 폐암이나 식도암, 복강내암(위, 담낭, 췌장, 신장, 전립선 등)을 의심할 수 있다.

그 밖에 겨드랑이 림프절 비대가 있으면 유방암, 서혜부 림프절 비대가 있으면 자궁경부암, 대장암, 난소암 등을 확인해야 한다. 림프계 자체의 악성 종양인 림프종일 가능성도 있다.

악성 종양에 의한 림프절 비대 증상은 2㎝ 이상의 단단한 멍울이 한 달이 지나도 없어지지 않는 경우다. 피부괴사가 동반된 경우, 압통이나 발열은 동반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노인이나 흡연자는 악성 종양일 가능성이 더 크지만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조직검사가 필수다.

이 교수는 “단일 림프절 내에 기쿠치병과 갑상선유두암이 공존하는 환자도 진료한 적이 있었다”며 “두 가지 이상 질환이 공존하는 경우는 흔하지 않지만 림프절염이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발생하므로 정확한 진단을 위해 검사를 받을 필요가 있다”고 당부했다.

thle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