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포화상태 D램 시장 돌파구는 ‘서버’…韓 점유율 80%대 공고
[헤럴드경제=이슬기 기자] PCㆍ스마트폰의 수요 둔화로 D램 시장이 포화상태에 이른 가운데, ‘서버’가 마지막 돌파구로 지목됐다. 특히 관련 시장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우리 기업이 80% 이상을 점유하고 있어 앞으로도 한국의 ‘반도체 천하’는 이어질 전망이다.

4일 시장조사기관 IHS에 따르면 지난해 462억달러 규모였던 D램 시장은 올해 486억달러 규모로 소폭 성장한 뒤, 2016년에는 442억달러로 역성장할 것으로 관측됐다. 그 뒤 4년간 시장규모 역시 2017년 441억달러, 2018년 463억달러, 2019년 483억달러로 제자리걸음을 할 것으로 분석됐다.

D램 수요의 중심이었던 PC와 모바일(스마트폰)용 D램 시장의 부진 탓이다.

반면 서버용 D램 시장 규모는 지난해 70억달러에서 올해 80억달러, 2016년 84억달러, 2017년 98억달러, 2018년 117억달러, 2019년 134억달러로 연평균 13.8% 성장하며 전체 D램 시장의 새로운 시장으로 떠오를 전망이다. 클라우딩 서비스 확대, 빅데이터 이용 증가 등으로 서버 수요가 늘면서 정보기술(IT) 기업들이 앞다퉈 관련 장비 확충에 나서고 있어서다.

이에 따라 세계 반도체 시장을 주름잡고 있는 우리 기업들의 영향력도 당분간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IHS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서버용 D램 시장에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매출액은 각각 14억3000만달러, 10억2000만달러였다. 이를 시장점유율로 환산하면 각각 46.9%와 33.5%로, 관련 시장의 80% 이상을 우리 기업이 차지하고 있는 셈이다.

두 반도체 거인의 서버용 D램 시장 공략 행보도 발 빠르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향후 서버용 D램 수요가 계속 확대될 것으로 보고 고용량 DDR4 및 LPDDR4 등의 차별화된 제품을 앞세워 시장 주도권을 공고히 한다는 계획이다.

실제 최근 열린 콘퍼런스콜에서 백지호 삼성전자 전무는 “서버용이 하반기 D램 수요를 견인할 것으로 예상한다”면서 “20나노 공정 전환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원가 경쟁력을 강화한 만큼 차별화된 제품 판매 확대를 통해 견조한 실적을 유지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한편 PC용 D램 시장 규모는 지난해 121억달러에서 올해 103억달러로 감소한 뒤, 2016년 72억달러, 2017년 53억달러, 2018년 42억달러에 이어 2019년 36억달러까지 줄 것으로 전망된다. 모바일용 D램 시장 역시 지난해 163억달러에서 오는 2019년 200억달러로 연평균 4.1% 성장하는데 그칠 것으로 나타났다.

yesyep@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