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불완전한 인간, 결핍을 인정하고 살아라
“보통 몸을 예찬할 때 사람들은 운동선수나 모델의 이미지를 가져온다. 그런데 나는 반대로 ‘식물인간’에게서 우리 본성의 토대가 되는 것을 찾고, ‘식물인간’의 허약한 체질에서 우리 몸이 실현하는 기적의 대상과 몸이 재현하는 경이를 분감하게끔 하는 사고의 궤적을 발견한다.”

뇌성마비 장애를 갖고 태어나 수많은 난관을 딛고 일어선 유럽의 베스트셀러 작가 알렉상드르 줄리앵의 저서 ‘인간이라는 직업’(문학동네)은 시시각각 몸을 통해 고통을 인식해온 삶 속에서 건져 올린 인간 이해의 정수를 보여준다.

다양한 학문과 과학이 인간 존재의 미스터리를 풀어내지만 더 알 수 없는 것이 돼가는 역설 속에서 줄리앵의 숙고는 삶의 진실의 한 면을 보여준다. 줄리앵은 탐색의 대상인 인간을 직업이란 틀 속에서 바라본다. 일터에서 일하면서 어리버리한 수습기간을 거치고 몸과 마음이 전투를 벌이면서 하나씩 알아가는 과정과 같다고 본 것이다. 그에 따르면, 그 일터는 근본적으로는 고통스럽다. 자기 몫의 고통을 감내해야 한다. 바닥까지 떨어지기도 한다. 그러나 바닥에서 느낄 수 있는 평화와 기쁨이 있고, 딛고 일어섰을 때 알게 되는 존재의 비밀이 있다. 줄리앵은 이를 ‘고통을 통한 앎’이라고 말한다. 그가 타고난 육체의 비정상은 삶의 기술을 습득하는데 예민할 수 밖에 없다. 장애인에게 서서 본다는 건 새로운 지평이 열리는 인식의 충격을 제공한다. 그런 의미에서 그에게 매일은 전투이지만 기쁨의 축제이기도 한 것이다. “내가 걸을 수 있다는 것의 가치, 말한다는 것의 기쁨, 어렵게나마 치약 뚜껑을 열 수 있는 행복, 기차에 올라탈 수 있는 행복을 식물인간 덕분에 가늠하게 된다.”

고통을 통한 그의 발견은 남다를 수 밖에 없다. 무엇보다 고통을 그대로 인정하기다. “비극을 부정하려 진을 빼거나 결핍을 지워버리고 피치 못할 고통 곁을 그냥 지나치느니 차라리 불완전한 점들을 그대로 지닌 채 이 세상을 살아가라”고 권한다. 고통은 두려워하면 할수록 점점 더 괴로워진다는 것. “그래서 내 삶의 먼지를 탈탈 털어내고 모든 집착을 벗고 매일매일, 매번의 숨과 삶을 새로운 눈으로 받아들일 필요가 있다”고 조언한다.

작가가 인간을 이해하는 핵심적인 단어는 개별성이다. ‘장애인=불행한 사람’이라는 식의 판단의 고정성에서 벗어나 개개인 속에 있는 신비를 포착하는 것이다.

작가는 5년 전, 유럽에서 우연히 ‘선’에 대한 라디오 방송을 들은 것을 계기로 그 방송에 출연한 예수회 신부이자 서강대 종교학과 교수인 서명원씨를 스승으로 삼아 한국에 와 불교와 가톨릭 수행을 함께 하고 있다. 고통에 대한 이해는 이와 관련이 있어 보인다. 

이윤미 기자/meele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