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라이프 칼럼 - 정덕현] 백종원 쿡방과 서민들의 살림살이
요즘 백종원의 요리방송이 인기다. 인기 비결은 요리 무식자들도 시도해볼 수 있을 만큼 간단하지만 효과적인 레시피를 쉽게 알려준다는데 있다. 그런데 이 백종원이 하는 요리에는 특이한 점들이 보인다. 그것은 ‘슈가보이’라는 그의 닉네임에서 보이듯이 설탕과 간장을 아끼지 않고 사용한다는 점이다. 심지어 “때려 넣는다”는 표현까지 나온다. 그의 레시피 중 가장 유명한 ‘만능간장’은 돼지고기 다짐육 1근에 간장 6컵 그리고 설탕 한 컵을 넣어 끓여낸 것이다. 실제로 만들어본 이들은 이 만능간장이 대단히 쉬우면서도 효용성이 뛰어나다고 말한다. 하지만 짜기 때문에 적절히 물로 농도를 조절해 써야한다 게 중론이다. 

설탕과 소금, 간장 같은 조미료는 지금껏 필요악 정도로 받아들여졌던 게 사실이다. 맛을 내기 위해서는 이를 넣어야 하는데 그게 건강에는 영 좋지 않다는 인식이 생겨났다. 그래서 설탕 대신 올리고당이나 심지어 꿀을 사용하기도 하고, 소금은 천일염을 사용하며 간장도 짜지 않을 만큼만 이용하는 게 요리의 도리인 것처럼 받아들여졌다. 그런데 왜 백종원은 이런 도리 따위는 필요 없다는 식으로 조미료를 넣는 것일까.

아마도 외식업에 종사하는 이들은 그들이 만드는 음식에 꽤 많은 조미료가 들어간다는 걸 알고 있을 것이다. 간이 맞지 않는 음식이 대중적으로 성공할 수는 없다. 그러니 백종원이 조미료를 넣어 간을 맞추는 건 그에게는 상식일 수 있다. 많은 이들은 유명한 식당의 음식이 그저 손맛으로 만들어진 것이라고 믿고 싶겠지만 사실 거기에도 상당한 조미료가 들어간다. 그런데 흥미로운 건 백종원이 조미료를 팍팍 치는 모습을 대중들이 불편하게 여기기는커녕 오히려 반색하고 있다는 점이다. 물론 모두가 그런 반응을 보이는 건 아니지만 많은 이들은 백종원의 그런 모습에 통쾌함마저 느낀다고 한다. 왜 이런 반응이 일어났을까.

물론 건강을 걱정해 조미료 대신 천연재료들을 넣어 요리를 하는 건 더 바람직한 일일 것이다. 하지만 모든 서민들이 그 비싼 천연재료들을 어떻게 구입할 것이며 또 그걸로 조리할 만큼의 시간적 여유가 얼마나 있을 것인가. 그러니 한편으로는 조미료를 쓰면서 죄의식을 느껴왔던 것이다. 백종원에게 서민들이 반색한 건 그 죄를 과감하게 ‘사해줬다’는 점이다. 그는 꽁치가 없으면 꽁치 통조림으로, 그럴싸한 ‘일본풍 꽁치 조림’을 만들어먹을 수 있는 레시피를 알려준다. 카레 같은 누구나 쉽게 만들어 먹을 수 있는 서민음식도 좀 더 폼 나게 먹을 수 있는 법을 알려 준다.

사실 먹는 문제만큼 민감한 정치적 사안이 있을까. 그 많은 역사 속 민란들이 벌어진 건 결국 이 먹는 문제가 그 뇌관을 건드렸기 때문이다. 누군가는 호의호식할 때 누군가는 끼니 걱정을 해야 한다면 그 상대적 박탈감은 얼마나 클 것인가. 지금의 대중들에게 ‘장바구니 물가’가 그 어떤 사안보다 뜨거운 감자가 되는 건 그래서다. 백종원 쿡방의 열풍은 단지 그의 요리나 방송 실력에서만 비롯되는 건 아니다. 그는 지금 장바구니 물가에 시름하는 서민들의 정서를 그 특유의 구수한 사투리로 툭툭 건드리고 있다. 그의 쿡방 열풍의 이면에서 발견되는 건 장보기가 무섭지만 그래도 끼니를 챙겨먹어야 하는 서민들의 살림살이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