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가야 최초 대형 지하 저장시설 ‘목곽고’ 발견
[헤럴드경제=신수정 기자] 문화재청은 ‘고령 주산성’(사적 제61호)에서 백제의 축조기술을 적용한 가야 최초의 대형 지하 저장시설인 목곽고(木槨庫)가 발견됐다고 14일 밝혔다. ‘고령 주산성’은 문화재청의 허가를 받아 (재)대동문화재연구원이 발굴 조사 중이다.

이번 조사는 고령군에서 대가야 역사복원을 위해 단계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고령 주산성 종합정비계획의 하나다. 주산성은 6세기 전반에 축조된 대가야의 석축산성이며, 이번에 주산성의 내성(內城)에서 조사된 대형 목곽고는 6세기 중엽 경 백제의 축조기술과 도량형을 적용해 축조된 것으로 확인됐다.

대형 목곽고는 먼저 무른 암반을 가로×세로 8m, 깊이 3.5m 정도로 파고 바닥에 약 1.2m 높이로 점토를 채웠다. 그다음 중앙부에 약 20㎝ 두께의 목판들을 바둑판무늬의 격자 모양으로 짜 맞춘 정사각형 평면의 목곽공간을 만들었다. 그 규모는 가로×세로 5m, 높이 2m 정도다.
주산성 내성과 대형 목곽고의 위치

이후 암반을 판 구덩이의 가장자리에는 석축을 쌓고 석축과 목곽 사이에 1m 이상 점토를 두텁게 채웠다. 방수와 동시에 온도나 습도의 변화를 최소화한 것이다.

문화재청은 “이와 같은 구조적 특징과 산성 정상에 조성된 특수시설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이 목곽고는 음식재료를 가능한 한 오래 보관하기 위한 저온 식자재 저장시설이었을 가능성이 크다”고 전했다.

이번에 주산성에서 발견된 목곽고와 유사한 구조는 공주 공산성, 대전 계족산성, 이천 설성산성, 금산 백령산성, 대전 월평동 유적 등 백제권역에서 확인되고 있다. 또 축조 시 사용된 도량형도 동시대 백제에서 사용하던 중국의 남조척(1척=25㎝)을 적용했을 가능성이 높아, 당시 백제와 적극적인 문화교류가 있었음을 보여준다. 
대형 목곽고의 바닥면 노출상태

특히 목곽고가 축조된 6세기 중엽 대가야의 정치적 상황은 백제와 연합해 신라에 대치하다 관산성 전투(554년)에서 패배한 후 세력이 급격히 약화하는 시점이다.

학계에서는 이 시기 대가야는 친백제 세력에 의해 정국이 주도됐다고 보고 있다. 대가야 중심부에 백제 묘제의 영향을 그대로 받은 고령 고아리 벽화고분(사적 제165호), 고아2동 고분, 절상천정총(고령군 지산리 소재) 등 새로운 형태의 무덤이 축조된다는 점을 근거로 삼고 있다.

따라서 백제기술이 적용된 이번 목곽고의 발견은 이같은 학설을 보완해줌과 동시에 대가야 말기의 역사를 복원하는 근거가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한편 목곽고의 폐기과정은 대가야 멸망 이후의 상황을 반영하고 있다. 최초 폐기층의 바닥에 소토(불에 탄 흙)와 목탄의 흔적이 남아있으며, 6세기 후엽 경의 신라 단각고배(짧은 굽다리 접시)편 등이 출토됐다.

문화재청은 “이같은 점으로 미뤄 볼 때 목곽고는 신라가 대가야를 병합(562년)한 직후 다시 사용하지 못하도록 신라에 의해 의도적으로 불태워졌을 것으로 추측된다”고 밝혔다.

ssj@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