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메르스 사태 재발방지, '보호자 없는 병원'도입에 5조원 필요
간호인력 4만 8000명 충원·시설개선비 등 비용 발생
포괄간호서비스’ 전국 확대에 4조6000억원 소요



[헤럴드경제=민성기 기자]제2의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사태를 방지하기 위한 ‘보호자없는 병원’도입에 4조 6000여억원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됐다. 환자의 가족이 간병, 병원내 감염과 병을 키우는 한국의 병원문화가 메르스 사태를 키웠다는 논란이 제기된 바 있다. 제사태를 예방할 제도로 꼽히는 ‘포괄간호서비스’를 국내 모든 병원(요양병원, 정신병원 제외) 일반 병동에 전면 도입하는 데에는 총 5조원에 가까운 재원이 필요하다는 예상이 나왔다.
병원내 감염의 주원인으로 꼽히는 환자 가족의 병간호를 원천적으로 해소하는 ‘보호자 없는 병원’을 도입하는데 4조 6000억원이 소요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건강보장연구실 황나미 선임연구위원은 14일 ‘보건복지 이슈&포커스’ 최근호에서 국내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 일반병동 1780여곳에 ‘포괄간호서비스’를 도입하려면 간호 인력 인건비, 감염 예방 등 시설개선비 등으로 총 4조 5900억원이 필요하다고 추산했다. 포괄간호서비스는 가족이나 간병인이 아닌 간호사나 간호조무사가 전문적으로 입원 환자를 간호하는 제도다. 환자는 하루 6000~1만원 정도를 입원비에 추가로 부담하는 대신 가족이 병간호하거나 간병인을 따로 고용할 필요가 없다는 이점이 있다.

우선 2020년을 목표로 포괄간호서비스를 전국으로 확대할 때 간호 인력 4만 7922명이 더 필요하다고 황 연구위원은 추산했다.

2013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자료를 보면 우리나라의 병상당 간호 인력은 0.28명으로 꼴찌다. 노르웨이(2.59명), 미국(2.39명)은 물론이고 OECD 국가 평균(1.25명)에도 미치지 못한다.

포괄간호서비스를 가동하려면 기존 국내 간호사 인력 수준보다 1.5~2배를 추가 투입해야 한다고 황 연구위원은 밝혔다.

이와함께 병원 시설에도 상당한 투자가 필요하다.

감염 관리를 위해서, 보호자·방문자용과 환자용 엘리베이터를 철저하게 분리해야 한다. ‘보호자 면담실’을 설치하고 이곳에서만 보호자와 환자가 만날 수 있게 관리해야 한다.

중앙간호사실과 별도로 간호업무보조실(substation)을 설치해 간호 인력을 분산배치하는 것도 필요하다.

보호자가 없어도 환자가 안전사고를 당하지 않도록 바닥의 문턱 등을 제거하는 등 병실 환경도 개선해야 한다.

황 연구위원은 “각도를 환자 스스로 조절할 수 있는 전동침대를 설치하는 것만으로도 간호사의 업무 부담을 크게 줄여줄 수 있다”고 설명했다.

황 연구위원은 이런 시설을 설치하는 데 병동 하나당 평균 1800만원이 들 것으로 추산했다.

min3654@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