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공공저작물 390만건 잘 활용하면 ‘돈’
[헤럴드경제=이윤미 기자]#천연도료를 개발해온 (주)홈아트는 최근 특수 롤러에 화목, 사랑, 행운, 승진 등 다양한 의미를 가진 전통문양을 각인해 천연도료만으로 종이벽지 과를 톡톡해 내 매출이 1억원이상 올랐다. 이는 문화포털 공공누리를 통해 서비스 중인 공공저작물을 공짜로 활용한 것이다.

국가나 지방자치단체 등에서 공공재원을 투입해 작성한 공공저작물을 별도의 이용허락 없이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한 ‘공공저작물 자유이용’ 정책이 시행 1주년을 맞았다.

7월 1일 현재 365개의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들이 개방한 공공저작물은 약 390만 건이 공공저작물 포털 사이트인 공공누리(www.kogl.or.kr)를 통해 서비스 되고 있다.

공공저작물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 허락표시’인 ‘공공누리 마크‘가 부착돼 개방되고 있다. 이 가운데 출처만 표시하면 상업적 이용과 변경이 가능한 제1유형 저작물이 약 117만 건으로 전체의 약 30%를 차지하고 있다. 분야별로는 어문이 약 294만 건(75%)으로 가장 많으며, 사진이 약 85만 건(22%), 미술·영상·음악이 그 뒤를 잇는다.

문화체육관광부에 따르면, 서비스 중인 공공저작물 가운데 국민과 기업으로부터 가장 많은 관심과 사랑을 받고 있는 저작물은 문화재청이나 국립중앙박물관의 문화재 및 유적 사진, 국립생물자원관 등 국가연구소들의 연구보고서, 전통문양 등이다.

특히, 제품 디자인 등에 활용도가 높은 전통문양은 일부 기업들이 친환경 페인트 벽지 무늬와 보드 게임 포장용기 디자인 등으로 활용되고 있다. 중소기업인 ㈜홈아트의 경우, 전통문양을 새긴 친환경 페인트 관련 제품의 매출이 1억 원 이상 증대하였고, ㈜아이펀은 유아용 침대의 제품 디자인에 자손 번창의 의미를 지닌 전문통양인 ‘난초’를 활용하여 디자인을 강화했다.

또한 동아출판은 지난 6월 30일, 한국문화관광연구원과 업무 협약을 통해 연구원이 개방한 고품질의 사진 저작물들을 활용하여 도서 제작을 추진하고 있다. 그 외에도 금성출판사, 미래엔 등 다수의 출판사가 공공저작물을 활용한 도서를 기획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체부는 하반기 공공저작물 자유이용 활성화 시책을 수립, 공공기관들의 공공저작물 개방을 독려해 질적·양적으로 확대시킬 계획이다.이를 통해 국민들이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공공저작물의 수를 500만 건 이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시책 및 관리 지침을 안내하는 워크숍과 설명회를 오는 9월과 11월에 개최할 예정이다.

문체부 정책 담당자는 “공공지식재산으로서 국민에게 공유된 공공저작물을 활용한 민간 제품이 출시되는 것을 볼 때마다 ‘창조경제’가 무엇인지 몸소 체험하고 있다.”라며, “앞으로, 브랜드 과제로 추진하고 있는 공공저작물 자유이용 정책에 대한 더 많은 기관의 참여를 이끌어서 국민들이 더욱 편리하게 공공저작물을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이 정책이 국민과 공공기관에 ‘경제 혁신’과 ‘국민 행복’에 부합하는 정책으로 인식될 수 있게 최선을 다할 것이다.”라고 밝혔다.

/meele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