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금강산 관광중단 7년…투자기업 “관광재개ㆍ피해지원법 시급”
[헤럴드경제=양영경 기자] 금강산기업인협의회는 내달 12일로 금강산 관광중단이 된 지 7년을 맞은 가운데 금강산 관광의 조속한 재개와 피해지원법을 제정해달라고 촉구했다.

협의회는 29일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금강산 관광재개를 바라지만 당장 이뤄질 수 없다면 피해지원법을 조속히 제정하고 금강산에 투자한 자산을 정부가 즉시 인수해갈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협의회는 “지난 2007년 7월 12일 금강산 관광객 박왕자 씨가 북한군에 피살되고 나서 곧바로 관광이 중단됐다”며 “49개 업체가 금강산에 1933억원을 투자했지만 피살사건 이후 손실액이 8000억원에 이르고 있다”고 말했다.

협의회는 “금강산 투자기업인 49개 업체는 대부분 중소업체로 정부나 금융기관에서 어떤 지원도 없이 기업인 본인 자금과 대출로 자금을 마련해 투자했다”고 설명했다.

협의회는 “관광 중단 이후 정부로부터 순수 지원받은 것은 위로금 500만원에서 2000만원선이었다”며 “100억을 넘게 투자하고 2000만원을 위로금으로 받았다”고 말했다.

이 자리에서 협의회는 정부의 대출 규정에 대해서도 지적했다. 협의회는 “수출입은행으로부터 185억원을 대출받았는데 7년동안 3차례 걸친 대출과 대출금을 1년 안에 소진해야 한다는 규정에 묶여 사업이 어려웠다”며 “대북사업이 언제 재개될지도 모르는 상황에서 대출받은 자금을 회사 운영비, 임직원 급여, 대출금상환 사채 변제 등으로 전부 소진해 대체 사업을 찾을 기회마저 갖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협의회는 또 “2012년 9월 원혜영 국회의원이 ‘남북경협피해보상법’을 발의했지만 3년이 지나도록 진전이 없다”며, 피해보상법이 어렵다면 피해지원법을 조속히 제정해 달라”고 거듭 강조했다.

협의회의 한 관계자는 “금강산 관광이 중단됐을 때 정부에서는 금방 재개될 것이라고 해서 북한에서 시설 정리를 하거나 상품도 가지고 나오지 않았다”며 “그런데 몇개월 지난 후에는 아예 북한에 들어갈 수 조차 없게 됐다”고 밝혔다. 그는 “북한에 남겨진 시설에는 겨울철 동파가 발생해 배수나 온돌시스템이 망가졌고, 두고 온 상품들도 모두 변색돼 쓸 수 있는 게 없다”고 말했다.

한편 금강산투자기업들은 현대아산의 협력사로 금강산지역에 호텔, 펜션, 버스운송, 면세점 등 다양한 사업분야에 진출했지만 관광 중단으로 49개 중 21개 기업이 파산한 상태다. 


ana@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