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잇단 사퇴 요구…‘유승민 저격수’ 나선 김태호, 왜?
[헤럴드경제=유재훈 기자] 연평해전 13주기를 맞은 29일 평택에서 개최된 새누리당 현장최고위원회의.

호국보훈의 달인 6월을 맞아 안보 행보와 함께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로 침체된 지역경기 점검을 위해 집권여당 지도부와 최고위원들이 총출동한 자리였다.

이날 현장 최고위 회의는 박근혜 대통령이 ‘국회법 개정안’에 거부권을 행사하며 원내사령탑인 유승민 원내대표를 직격 비판, 당청관계가 갈등국면에 들어선 어수선한 상황에서도 민생정치에 전념하는 모습을 연출하기 위한 당 지도부의 행보였다. 


이날 회의에서 친박계 최고위원들이 유 원내대표의 사퇴를 요구할 것으로 알려졌던 것과 달리, 서청원ㆍ이정현 최고위원이 회의에 불참하며 당내 불화는 연출되지 않는 듯 했다.

하지만 비박계로 알려진 김태호 최고위원이 유 원내대표를 향해 포문을 열었다.

김 최고위원은 “당청간 갈등을 해소하기 위해 저는 가장 큰 원인을 제공한 유 원내대표가 용단을 내려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당이 대표 중심으로 뭉쳐서 위기를 극복해야 하며 분열되어선 안 된다. 현재 문제가 되고 있는 원내대표 문제를 해결하고 가는 것이 통합의 진정 첫걸음 될 것”이라며 김무성 대표의 결단을 압박했다.

김 최고위원의 발언에 이어 곧 바로 김 대표의 발언이 이어졌다.

김 대표는 “오늘 오후에 정치 현안 문제를 가지고 최고위 회의를 갖기로 결정해서 이 회의 들어오기 전에 부탁을 했는데 협조가 안됐다”면서 “할 이야기는 얼마든 할 수 있지만 오늘 회의 주제는 메르스 극복과 제2 연평해전 관련 내용”이라며 김 최고위원의 발언에 불편한 심기를 감추지 않았다.

김 최고위원의 유 원내대표 사퇴 요구는 이날 발언이 처음이 아니었다.

김 최고위원은 박 대통령이 국회법 개정안에 거부권을 행사한 지난 25일에도 유 원내대표의 사퇴를 주장했다.

일각에서는 김 최고위원의 ‘유승민 때리기’가 친박계와 어느 정도 교감 하에 보폭을 맞추고 있는 것 아니냐는 분석이다.

이명박 전 대통령 재임 당시 국무총리 후보자로 발탁될 정도로 ‘친이계’로 잘 알려졌던 김 최고위원이 정치적 입지 확장을 위해 친박계와 목소리를 같이 내고 있다는 분석이다.

이같은 분위기는 지난해 10월 김무성 대표의 ‘상하이 개헌’ 발언 당시에도 감지됐다. 김 최고위원은 당시 김 대표의 ‘개헌론 봇물’ 발언과 관련 “박 대통령에게 염장을 질렀다. 많이 가슴이 아프실 것”이라고 비판하며 각을 세운 바 있다.


igiza77@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