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메르스 여파, 6월 국내 관광수입 손실 1억1000만 달러 육박
[헤럴드경제=이홍석(인천) 기자]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여파로 인해 6월 국내 관광수입 손실이 1억1000만 달러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새정치민주연합 윤관석(인천 남동을) 국회의원이 문화체육관광부로부터 제출 받은 ‘메르스 여파로 인한 인바운드 관광 감소’ 자료에 따르면 6월 이후(6월1일~6월10일) 전년 대비 방한관광객이 약 9만명(20%)이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로 인한 관광수입 손실만 약 1억1000만 달러(약 1221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한국관광공사는 메르스 사망자 발생 이후 방한 여행 취소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고 지난 13일 기준 방한관광 취소 건수도 총 10만8085명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당초 정부의 2015년 외래관광객 유치목표는 1550만 명이다.

메르스 발생 이전인 지난 5월까지는 전년대비 약 10% 정도 관광객이 증가했다. 그러나 메르스 여파가 지속됨에 따라 6~7월 방한영행 취소가 증가하고 하계 성수기 여행계획 수립에도 영향을 주고 있어 방한시장 위축이 지속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특히, 올해 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오는 9월 이후 전년대비 30% 이상의 성장이 필요한 것으로 정부는 추정하고 있는데, 현실적으로 목표 달성이 어려울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윤관석 의원은 “방한여행 취소가 10만명이 넘고 관광업계가 고사 직전이라는 목소리가 언론과 국민여론을 통해 수차례 나왔음에도 불구하고, 15일이 되서야 정부가 대응책을 발표하는 것은 다소 늦은 감이 있다”며 “한국관광 진흥과 관광정책 추진의 실무 책임자인 한국관광공사 사장 공백이 3개월여 이어지고 있는 것이 원인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윤 의원은 이어 “정부의 메르스 안심보험 정책이 오히려 방한관광객에게 대한민국은 메르스 전염 가능성이 높은 나라라는 인식을 줄 가능성이 높다”며 “이런 부적절한 정책은 당장 취소하고 조속히 관광공사 사장을 전문가로 임명해 위기에 빠진 관광업계 지원에 최선을 다 해야 할 것”이라고 당부했다. 


gilbert@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