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소형 국산차 시장은 왜 반토막 났나
[헤럴드경제=정태일 기자]국내에 등록된 소형 국산차가 5년전 대비 절반 가까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교통부 자동차등록통계의 승용일반형 부문에서 배기량별(1000㏄ 미만~5000㏄ 이상)로 차종을 분석한 결과, 지난 5년 동안 국산차는 1500㏄ 미만 차종에서 가장 많이 줄어들었다.

2010년 4월 기준 등록된 1500㏄ 미만 국산차는 245만3332대였지만 올해 4월에는 132만3859대로 기록됐다. 5년새 46%로 거의 절반 정도 감소한 셈이다.

소형 국산차가 크게 준 이유는 우선 소형차를 찾는 사람보다 국산 경차를 타려는 사람이 크게 늘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 1000㏄ 미만 국산 경차는 2010년 4월 31만8105대로 등록됐다가 올해 4월 116만3719대로 266% 상승했다. 첫차로 소형차보다 경차를 선택하거나 경차를 타다가 소형차로 넘어가지 않고 다른 차종의 경차를 선택한 고객이 많았던 것으로 분석된다.

이와 함께 2000㏄ 미만 중형차 등록대수도 이 기간(2010년4월 대비 2015년 4월) 23%(110만5746대) 증가해 소형차 고객 일부가 중형 시장으로 넘어온 것으로 추정된다.

반면 소형차 시장에서 국산차가 크게 줄어든 사이 수입차가 무서운 속도로 이 영역에 진입하고 있다. 최근 5년새 1500㏄ 미만 수입차는 3861대에서 3만6912대로 무려 856%나 증가했다. 업계에서 2010년을 국내 자동차 시장에서 수입차가 급성장한 시기로 보는 가운데, 이후 수입차가 가장 빠른 속도로 뿌리를 내린 영역은 1500㏄ 미만인 소형차 시장이었던 것이다.

2000㏄ 미만 시장에서도 국산차는 5년간 증가율이 23%에 불과했지만, 수입차는 312%로 국산차의 13.6배였다.

이에 대해 한국자동차산업협회 관계자는 “5년전만 해도 수입차는 상류층의 전유물로 인식됐지만, 중산층과 함께 20~30대 중심으로 수입차 열풍이 불면서 비교적 부담이 덜한 소형ㆍ준중형 수입차가 크게 늘어난 것으로 분석된다”고 설명했다. 



다만 이 관계자는 “하반기 현대차 아반떼 등 국산차 신형 모델이 출시될 예정이어서 그동안의 대기수요가 통계에 반영되지 않을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한국수입자동차협회 자료를 보면 2010~2014년 연간 베스트셀링카 TOP10에 꾸준히 오른 모델은 폭스바겐의 대표적인 소형차 ‘골프’다. 뛰어난 연비(13.5~18.9㎞/ℓ)에 3000만원대의 가격이 소비자들에게 장점으로 인식된 것으로 풀이된다.

이와 함께 폭스바겐의 티구안, BMW의 320d 등도 2000㏄ 미만 시장에서 높은 판매량을 유지하고 있다.

이 같은 현상에 수입차 업체들은 국내 소형차 시장 중심으로 더욱 집중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미 BMW는 소형 해치백 뉴 1시리즈를, 아우디는 가장 작은 모델 A1을 출시하며 하반기 신형 아반떼에 맞서 선공에 들어갔다.

killpas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