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겨우 스무살인데 허리디스크... 척추질환, 나이 가리지 않는 이유는?

앉아있는 시간 긴 학생, 직장인들 허리디스크 통증 호소
초기 허리디스크에는 약물•물리치료 우선... 통증 심하다면 비수술 치료 OK

척추질환의 가장 큰 발병원인은 역시 노화다. 노화로 인한 퇴행성 변화 때문에 척추뼈와 인대, 힘줄 등이 지속적으로 약해지기 때문이다. 허리디스크와 같은 척추질환이 40대 이상에서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그런데 최근에는 중장년층이 아닌 20, 30대 젊은 층에서도 허리디스크 환자가 상당수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

강서 세바른병원 김순권 병원장은 "세대를 막론하고 앉아있는 시간이 점차 늘어나는 것이 주된 원인이다. 하루 종일 사무실 의자에 앉아 일하는 20, 30대 직장인은 물론이고, 학업의 부담이 큰 10대도 밖에서 활동하는 대신 책상 앞에서 시간을 보내며 척추 건강을 해치고 있다"고 설명했다.

세바른병원 김순권 병원장

실제로 앉은 자세는 척추에 가장 부담을 주는 자세다. 특히 앉아있는 중에 허리를 반듯하게 펴지 않고 구부정한 자세를 취하면 허리에 가해지는 하중이 더욱 커져 척추를 지탱하는 인대나 추간판(디스크)을 약화시키는 원인이 된다. 그런데 앉아 있는 시간이 길면 자연스레 자세가 흐트러지므로 허리디스크가 발병하기 좋은 환경이 되는 것이다.

허리디스크는 척추뼈 사이의 디스크가 제자리에서 밀려나와 척추 주위를 지나가는 신경을 눌러 통증을 유발하는 대표적인 척추질환이다. 주요 증상은 허리의 통증인데 질환을 방치할수록 신경이 더욱 심하게 눌려 다리나 발이 저리고 당기는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허리디스크 초기에 병원을 찾았다면 약물치료와 물리치료 등 보존적 치료가 우선이다. 하지만 보존적 치료를 실시했음에도 불구하고 치료 효과가 미미하다면 그 때는 비수술 치료를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수술 치료는 말 그대로 수술이 아닌 치료, 즉 시술을 말한다. 수술 없이도 통증을 완화시키고 병의 원인을 없애는 것. 허리디스크의 치료에 가장 빈번하게 실시되는 시술로는 경막외 내시경시술을 들 수 있다.

경막외 내시경시술은 국소 마취 후 지름 2mm의 미세 카테터(관)를 척추 내부에 삽입한 뒤, 내시경 선을 연결하여 통증을 일으키는 원인을 들여다보며 치료하는 시술이다. 이후 약물을 주입하여 염증이나 유착, 신경 압박 등의 증상을 해결한다. 시술 시간이 30분에 불과하므로 학업과 업무로 바쁜 젊은 층에게도 부담이 없다.

강서 세바른병원 김순권 병원장은 "기존의 경막외 유착박리술에 내시경의 기능을 더해 진단의 정확성과 치료의 효율성을 높인 시술이다"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예방보다 더 좋은 치료는 없다. 오랜 시간 앉아 생활하는 직장인이나 학생이라면 평소 머리와 목, 허리가 일직선이 되는 바른 자세를 유지하고 틈틈이 휴식을 취해야 한다. 또한 허리 근력을 강화해주는 스트레칭 역시 허리디스크를 예방하는 데 반드시 필요한 요소다.


온라인뉴스팀/onlinenew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