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메르스 의심 들더라도…대처할 개인 매뉴얼이 없다
평소 감염병 대처법 교육·홍보 부족…사스·신종플루 겪고도 대응 부실
우리나라가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환자가 세계에서 두번째로 많은 국가라는 불명예를 갖게 됐다. 보건당국의 초동대처와 함께 개별 대처법 숙지가 미흡했던 것도 메르스 사태를 키운 한 원인이 됐다. 당국이 감염병 대처법을 사전에 국민들에게 충분히 알리지 못했기 때문이다.

11일 보건당국에 따르면 오전 8시 현재 메르스 확진 환자는 임신부를 포함한 14명이 추가 확진 판정을 받으면서 총 122명으로 늘었다. 5명은 감염 경로가 아직 불명확해 보건 당국이 역학 조사를 계속하고 있다. 이날 확진자 중 추가로 숨진 사람은 없어 현재 사망자는 9명이다.

확진자들이 연일 보고되고 있지만, 이들 중에는 확진 판정 전 발빠르게 격리에 들어가 확산을 예방한 경우가 있는가하면, 검사 통보를 무시하고 다른 사람들과 접촉한 경우도 있다.

‘메르스 걸릴라’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태풍이 가라앉지 않고 있는 가운데, 서울 명동을 찾은 한 외국인 관광객이 마스크를 쓴채 길을 걷고 있다. 마스크를 쓴 얼굴과 눈가에선 불안함이 엿보인다. 이상섭 기자/babtong@heraldcorp.com

애초 1번 확진 환자(68)가 중동 체류 이후 입국할 때 감염병과 관련해 어떤 신고를 해야 하는지에 대해 전혀 고지받은 바가 없었던 것이 이번 사태의 발단이었다. 2003년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사스)와 2009년 신종플루 사태를 겪으면서도 감염병 대응은 부실했다.

93번째 확진 판정을 받은 A(64ㆍ여) 씨는 메르스 감염 가능성을 인지하고도 최소 일주일 이상 전철과 택시 등을 이용하며 서울과 경기도 일대를 이동한 것으로 확인됐다. 당시 보건당국이 A 씨에게 검사 통보를 했지만, 이를 무시하고 격리 지시를 어기고 외출한 것으로 조사됐다. 평소 전염병에 대한 교육이나 홍보가 충분하지 못했던 방증이다. 아직까지 확진 환자들이 병원 내 감염으로 국한돼 있지만, 자칫 지역사회로 퍼져 갈 수 있는 상황도 배제할 수는 없다는 게 전문가들의 시각이다.

보건당국이 확산 방지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결국 지역사회로 확산을 막기 위해서는 매개체인 개인의 방역 노력도 병행돼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다. 확진 환자는 물론 감염자의 가족, 자가격리 대상자와 간병인 등의 개인적 관리도 중요해졌다. 보건복지부와 질병관리본부는 공공장소에서 마스크를 착용하고, 외출 시 반드시 손을 씻는 등 개인 위생에 철저히 나서는 한편, 발열ㆍ기침 등 메르스 유사 증상이 있으면 복지부 핫라인으로 연락할 것을 당부하고 있다.

이태형 기자/thle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