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엄지發 택시혁명] 말 미터기에서 앱택시까지…‘기술의 옷’ 갈아입는 택시
[헤럴드경제=서경원 기자]‘시민의 발’이라 불리는 택시는 승객 편의를 위한 기술진화를 거듭해왔다.

속도에 맞춰 말이 달리는 미터기에서부터 최근 택시 스마트폰 앱까지 시대 발전에 따른 신기술들이 지난 103년간의 대한민국 택시 역사를 수놓고 있다.

전세계 최초의 택시는 1896년 미국 뉴욕에서 영업을 시작했다. 아메리칸전기자동차회사가 전기차 200여대로 손님을 태워날랐는데, 마차보다 쾌적하고 조용해서 큰 인기를 끌었다. 

바로 2년 뒤엔 독일이 휘발유 엔진 택시를 개발해 속도 경쟁에 나섰다. 지금처럼 미터기를 단 택시는 1905년 영국 런던에서 처음 선을 뵀다.

우리나라에선 1912년 이봉래가 일본인 2명과 함께 ‘포드T형’ 승용차 두 대를 들여와 서울에서 시간제 임대영업을 한 게 택시의 시초다. 


최초의 택시회사는 1919년 말 일본인 노무라 겐조가 미국의 닷지(Dodge) 두 대를 갖고 세운 경성택시였다. 한 시간 요금은 당시 쌀 한 가마 값인 6원이었다. 그때 택시는 일본식 이름인 ‘다꾸시’로 불렸다. 경성택시는 미국 영업 방식을 본떠 종로, 명동, 을지로 등을 돌며 손님을 태웠다.

1921년엔 조봉승이 종로택시회사를 차렸다. 운행거리만큼 요금을 매기는 영업방식은 1926년 아사히택시회사가 일본에서 미터기를 들여온 뒤 본격화됐다. 미국식 단위로 2마일(3.2㎞)에 기본요금 2원, 0.5마일(800m)마다 50전을 받았다.

6·25 이후 1955년부턴 시발택시가 한 시대를 풍미했다. 최씨 3형제가 을지로 천막 안에서 드럼통을 두드리며 미군 차량을 개조해 만든 최초의 국산차였다. ‘첫 출발’을 의미하는 한자 ‘시발(始發)’을 한글로 풀어 ‘시바-ㄹ’이란 로고를 사용했다.

이후 택시산업은 1962년 새나라자동차가 도입되며 본격적으로 발달하기 시작했다. 한국 GM의 전신인 새나라자동차는 서울에 2000여대가 넘는 택시용 차량을 공급했다.

개인택시 제도는 1967년에 시작됐다. LPG택시는 1978년, 하이브리드 택시는 2009년에 도입됐다.


현금이 아닌 카드로 결제할 수 있는 서비스는 지난 2007년 서울에서 시작됐다.

이전까지만 해도 택시를 타려면 항상 지갑에 현금이 있는지를 확인해야 했지만, 이때부턴 교통카드와 신용카드로 택시요금을 정산할 수 있는 시대가 개막됐다. 이 시스템은 사업 시행 2년 만에 부산, 인천 등 전국적으로 확대운영됐다.

이후 티머니 등 RF(무선주파수) 방식의 카드들이 등장하면서 마그네틱 선을 이용해 긁지 않고 갖다 대기만 해도 결제가 되는 방식이 고안돼 현재까지 편리하게 이용되고 있다.


이젠 스마트폰에서 택시 앱을 켜고 현 위치를 입력하기만 하면 바로 코앞까지 택시를 대령하는 세상이 열렸다.

기존 콜택시서비스와는 달리 택시 잡기 어려운 시간대에도 콜센터를 거치지 않고 바로 택시를 부를 수 있는 스마트폰 기술이다.

전화 통화 없이 손가락 터치 몇 번이면 내가 있는 곳 주변에 있던 택시가 알아서 달려온다. 스마트폰의 GPS(위성항법장치)를 통해 나의 위치가 정확히 전달될 수 있고, 공증된 택시라 안심하고 부를 수 있다.


gil@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