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위안부 문제’ 한ㆍ일 국장급 회의…어떤 얘기 오갈까
[헤럴드경제=양영경 기자] 한국과 일본의 국교정상화 50주년을 열흘가량 앞두고 11일 개최되는 일본군 위안부 문제 국장급 협의는 과거사 문제로 냉랭했던 한ㆍ일관계를 녹일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우리 정부가 한ㆍ일 정상회담의 전제조건으로 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제시한 만큼, 이번 협의에서 양국이 진전을 보인다면 양국간 외교장관회담은 물론 정상회담 개최 논의로도 급물살을 탈 것으로 전망된다. 

이하라 준이치(伊原純一) 일본 외무성 아시아대양주국장

한ㆍ일은 지난 3월 서울에서 가진 제7차 국장급 협의 이후 3개월 만에 다시 대화 테이블에 앉는다. 이번 회의에서도 지난 회의와 마찬가지로 위안부 문제에 무게를 두고 한ㆍ일 간의 시각차를 좁히는 데 주력할 것으로 보인다.

그간 우리측은 위안부 문제에 대한 일본 정부의 명확한 책임 인정과 그에 따른 배상 조치를 요구해왔다. 그러나 일본측은 한일 청구권협정으로 위안부 문제의 법적문제는 해결됐다는 입장만을 고수해왔다.

일본은 지난 7차례 회의에서 우리측 기대에 못 미치는 도의적 수준의 조치만 언급한 것으로 알려져 양국은 가시적인 성과를 도출하지 못했다.

하지만 올해들어 일본은 위안부 문제에 대해 구체적인 입장을 제시하고 실질적인 의견 교환에 나섰다는 평가도 나온다. 이 때문에 이번 협의에서는 좀 더 진전된 대안을 제시하지 않겠느냐는 관측이 조심스럽게 제기된다. 지난 7차협의 직후 정부 당국자는 “상호 간 자기 입장만 반복해서 얘기하는 단계는 넘어섰다”고 밝히기도 했다.

이와 함께 이번 한ㆍ일 국장급 협의에서는 일본군 위안부 문제와는 별도로 양자 현안에 대해 논의하는 시간도 마련된다. 오는 22일 한ㆍ일 국교정상화 50주년을 앞둔 만큼 고위급 회담 개최를 비롯해 양국 우호협력을 증진할 방안에 대해서도 언급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일본 측은 지난번 협의에 이어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우리 정부가 일본 8개 현의 수산물을 수입 금지한 것에 대해 거론할 가능성도 있다.

한편 이번 8차 협의에는 우리 측에서 이상덕 외교부 동북아국장이, 일본 측에서는 이하라 준이치(伊原純一) 일본 외무성 아시아대양주국장이 각각 수석대표로 나선다.


ana@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